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도요타, 차기 후계자로 '도요타 사상 습득·실천 인물' 뽑는다

공유
0

도요타, 차기 후계자로 '도요타 사상 습득·실천 인물' 뽑는다

도요타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요타 로고, 사진=로이터
도요타 자동차는 “도요타 사장 후계자의 조건은 도요타의 사상·행동양식 등을 익힌 사람이며 이런 인물의 인선을 고려중”이라고 밝혔다.

도요타는 최근 아이치(Aichi)현 도요타시에 있는 본사에서 주주총회를 개최했다. 경영진측은 탈탄소화를 위해 지역 실정에 맞는 에코카(친환경 자동차)를 투입해 나갈 방침임을 설명했다.
도요타 사장인 도요타 아키오(Toyoda Akio)는 후계자 조건으로 ‘도요타의 사상을 익히고 있는 사람’을 꼽았다.

주주 총회에서는 주주로부터 향후 경영전략에 관한 질문이 잇따라 나왔다.

“자동차의 전동화 전략을 가르쳐 주었으면 한다”라는 질문에 마에다 마사히코 부사장은 “유럽에서 전기 자동차(EV), 브라질에서는 바이오 연료의 차가 각각 인기가 있다”면서 “지금은 선택지를 좁히지 않는다. 지역 실정, 고객의 선택에 맞춘 상품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차(HV)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V)를 포함해 향후에도 전방위로 개발을 진행시키겠다는 생각을 강조한 것이다.

‘10년 후 또는 20년 후 도요타는 어떻게 되느냐’는 물음에, 마에다 부사장은 차의 전동화나 자율주행 등과 같은 케이스가 진전된다면“이동의 가치, 주변의 서비스를 사회에 제공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터넷에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서비스 등은 앞으로 수익원으로 유망시되고 있으며, 도요타 제임스 카프너(James Kafner) 이사는 개발 중인 자체 소프트웨어를 2025년까지 실용화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이나 급속한 엔저 등 발밑의 과제에 대한 질문도 있었다.
도요타 구마쿠라 카즈오(Kumakura Kazuo) 조달본부장은 반도체 부족에 대해 “상황이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느끼지만, 아직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을 보였다. 카즈오 본부장은 재고를 늘리거나 반도체 제조업체와의 제휴 확대를 통해서 공급망을 강화해 나갈 방침임을 강조했다.

엔화 가치 하락과 관련해 켄타 치카(Kenta Chika) 부사장은 “엔고에서도, 엔저에서도 구매처, 판매점 등에 있어서 급격한 변동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도요타는 행복의 양산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차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도 중시하고 있다.

도요타의 ‘차기 사장’도 화제가 됐다. 도요타 사장은 “하나만 조건을 꼽는다면, 도요타의 철학, 생산 방식, 사상 및 행동 양식을 획득한 사람이다. 도요타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하는 신념과 소신 등을 서슴지 않고 이행하고 도요타의 경영이념을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차기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두로부터 신뢰를 받는 인물이 선정될 수 있도록 인선과 타이밍을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질의를 마친 도요타 사장은 2009년 취임 이후 13년을 되돌아보며 “내가 해온 것은 ‘행복의 양산’이라는 원점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더 좋은 차 만들기를 반복해서 호소해 왔으며 전 세계 곳곳에서 선택할 수 있는 자동차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도오타 사장이 도요타의 미래에 대해 말했을 때는 목이 메는 사람도 있었다.

그는 또 “도요타는 모빌리티 컴퍼니에의 풀 모델 체인지에 도전하고 있으며 만드는 것이나 서비스는 바뀌어 가지만, 자동차 제조 업체만이 만들 수 있는 미래가 있다고 믿고 있다. 꿈과 자신감과 자부심 등을 가지고 ‘자동차 제조업체’라고 대답할 수 있는 인재를 키우는 것이 나의 미션(사명)이다”라고 역설했다

지난해 1주를 5주로 하는 주식분할을 했고 도요타주를 사기 쉬워지면서 개인주주가 51만 명에서 81만 명으로 대폭 늘었다.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상황이 진정되고 있기 때문에 도요타는 3년 만에 주주에게 방문 자제를 요구하지 않았다.

이번 참석자는 934명으로 전년(383명) 대비 2·4배가 됐지만 코로나 이전인 2019년(5546명)의 20% 미만에 불과했다. 주주 총회에서는 이사 선임을 포함하여 5개 의안이 찬성 다수로 가결돼 1시간 53분 만에 종료됐다.


김세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