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IT주역 교체…전자상거래 기업 대신 하드코어테크 부상

공유
1

중국 IT주역 교체…전자상거래 기업 대신 하드코어테크 부상

투자자도 정부 방침 전환에 편승 움직임

중국내 알리바바 건물앞에 세원진 알리바바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내 알리바바 건물앞에 세원진 알리바바 로고. 사진=로이터
중국에서는 지난 몇 년 동안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그룹이나 배차서비스 대기업 디디 글로벌 등 소비자용 테크놀로지 기업에 투자자금이 몰렸다. 그러나 정부가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공산당이 우선 과제로 내세운 반도체, 생명공학, 정보기술 등에 대형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프레킨이 운영하는 투자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21년 벤처캐피털(VC) 투자자는 중국의 5300여개 신생기업에 1290억 달러(약 153조 원)를 투입, 2018년의 과거 최고 기록(약 1150억 달러)을 뛰어넘엇다. 프레킨은 지난 2000년부터 중국의 VC거래를 집계해오고 있다.
조사회사 제로2IPO가 운영하는 투자데이터베이스 'PE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 1~9월(3분기까지)에 중국의 신생기업이 모은 자본은 1650억 달러(약 196조 원)에 달해 2017년에 기록한 과거 최고인 1900억 달러(약 226조 원)를 웃돌 전망이다.

이러한 투자금 쇄도는 중국 정부가 일부 하이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미국 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주의를 요청한 가운데 중국이 여전히 투자처로서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정부는 하이테크 기업이 가진 데이터의 관리를 강화하고, 이 섹터의 ​​과도한 리스크 지향과 비경쟁적인 행동을 억제하려고 하고 있다. 당국은 2020년 종반에 핀테크 대기업 앤트그룹의 신규 주식 공개(IPO)를 저지했다. 2021년에는 소비자 인터넷 대기업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하여 수익성이 저하되는 사업의 재편을 강요했다.

투자자들은 이런 움직임에 크게 동요했다. 알리바바를 포함한 하이테크 기업의 시가총액 수십억 달러가 증발했다.

미국은 신생기업을 포함한 중국 하이테크 기업 수십개 사를 대상으로 미국에서 설비와 자본의 조달을 금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하드코어테크' 분야에 자본을 돌리는 데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하드코어 테크놀로지(Hard&CoreTechnology)는 인공지능·항공우주·반도체 등 진입장벽이 높은 최첨단 기술을 가리킨다. 중국 지도자들은 음식배달이나 비디오 게임, 전자상거래보다 하드코어테크 쪽이 국익에 해당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중국의 신 5개년 계획에서는 기술개발을 국가안보와 관련된 문제로 자리매김하고 연구개발에 대한 지출을 연 7% 증액한다고 발표했다. 군사 예산보다 빠른 확대 페이스가 되고 있다. 또 경제의 청사진으로 반도체‧인공지능(AI)‧양자컴퓨터 등 기술개발을 가속화 시키는 계획이 담겼다. 외국 기업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선진 기술로 주도권을 잡고 싶은 당국의 의향이 반영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인터넷을 활용해 중국 산업을 근대화하고 성장을 뒷받침하는 '호련망+(인터넷 플러스)' 정책이 추진되었다. 인터넷 분야는 지난 몇 년 동안 투자처에서 1, 2위를 다투고 있었지만, 지난해 1~9월은 4위로 전락했다.

자금 조달액은 약 200억 달러로, 가장 인기가 높은 반도체 분야보다 약 100억 달러 적었다(PE 데이터 조사). 알리바바나 텐센트 홀딩스와 같은 소비자 인터넷 기업은 한때 중국의 기업가 정신의 보물로 여겨졌지만, 중국 정치 지도자들은 더 이상 국익에 해당하는 종류의 기술 기업으로는 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대형 벤처 캐피털인 치밍 벤처 파트너스(Qiming Venture Partners)의 파트너인 게리 리셸은 “반도체, 선진적 제조업, 기업용 소프트웨어, 데이터 관련 업종”을 유망한 분야로 꼽았다.

실제로 5년 전 치밍 벤처 파트너스는 소비자 인터넷 기업에 50% 가까이 투자했지만, 현재는 15%로 급감했다. 대신에 반도체 칩이나 기업용 소프트웨어, 헬스케어 등 '코어테크' 기업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