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대한 직접적 비판 있어 국익 고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유엔(UN) 총회 산하 제3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 특히 신장 위구르족과 기타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지속적인 인권 침해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와 같이 심각하고 조직적인 인권침해는 정당화될 수 없다"며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OHCHR) 평가의 엄중함을 감안할 때 중국이 지금까지 논의를 거부한 것이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이 성명에는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호주를 비롯해 이스라엘, 소말리아 등도 서명했다.
일각에선 신장 인권 논란에 대한 토론 개최 여부를 물었던 지난 표결과 다르게 이번 성명에선 중국에 대한 직접적 비판이 들어간 점을 고려해 정부가 신중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 신장 인권 상황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취지에서 지난번 제51차 인권이사회 결정안에는 찬성한 바 있다"며 "이번 유엔총회의 제3위원회의 중국 신장 인권 관련 공동 발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불참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기자들을 만나 서명에 불참한 데 대해 "국익이나 여러 관점을 종합 고려했다"고 부연했다.
현 정부의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과 어긋난다는 지적에는 "성명에 불참했다고 해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에는 변동이 없다"며 "중국 신장 인권상황에 대한 국제사회 논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earl9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