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7월 기준 역대 최대인 607억달러 올렸지만
수입은 21.3% 증가한 654억7000만달러로 더 많아
수입은 21.3% 증가한 654억7000만달러로 더 많아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7월 수출입 실적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9.4% 증가한 607억달러, 수입은21.8% 늘어난 653억7000만달러로, 무역수지는 46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 무역수지는 지난 1월(-49억300만달러)에 이어 4월(-24억7700만달러), 5월(-16억1400만달러), 6월(-25억75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으며, 7월에는 적자 규모가 커졌다. 아울러 무역수지가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한 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6∼9월) 이후 처음이다. 이에 따라 올해 누적 무역적자액은 150억3000만달러로 집계 됐다.
7월 수출은 기존 역대 동월 최고 실적인 2021년 7월의 555억달러를 50억달러 이상 상회하는 607억달러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들어가보면, 15대 주요 수출품목 중 7개 품목, 9대 지역 중 5개 지역 수출이 증가했다.
석유제품(전년동월 대비 86.5% 증가)·자동차(25.3%)·이차전지(22.8%)가 역대 월 기준 1위 기록을 경신한 가운데, 반도체(2.1%)도 역대 7월 1위를 달성하며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미국 수출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14.6% 증가한 1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월 기준 최고기록을 경신했으며,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20.9%)은 9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상회하는 호조세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유럽연합(EU, 14.6%), 중동(11.7%), 인도(92.4%) 등도 높은 수출 신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대중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2.5% 감소했는데, 2분기부터 본격화하고 있는 중국의 경기 둔화세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한편, 수입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가격 등 영향으로 7월 654억달러를 기록했다. 7월 주요 에너지 품목의 가격은 원유가 전년동월 대비 41.4%, 가스는 113.9%, 석탄은 173.5% 급등했다.
이에 따라 월별 수입액은 3월 635억9000만달러 → 4월 603억3000만달러 → 5월 631억9000만달러 → 6월 602억 달러 → 7월 653억7000만달러 등 점진적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7월 원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액은 전년(97억1000만달러)보다 87억9000만달러(90.5%) 증가한 185억달러로 전체 수입 증가세를 주도하며 적자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부는 에너지원 중심 수입 증가가 수출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무역적자가 발생하였으며, 일본과 독일 등 주요국들도 에너지 수입급증으로 무역수지가 약화되었다고 설명했다.
일본의 올 상분기 무역적자는 역대 사상 최대로 7조9000억엔(약 644억달러)가 독일 지난 5월 1991년 이후 31년 만에 월간 적자가 발생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