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나라 살림 내년부터 허리띠 바짝 죈다…정부 국채 축소에 집중

공유
1

나라 살림 내년부터 허리띠 바짝 죈다…정부 국채 축소에 집중

재정적자 48조원 감축, 적자 규모 GDP 3% 이내로
국가채무비율 2027년까지 50% 중반으로 관리
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 국가재정전략회의 개최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충북 청주 서원구 충북대학교에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충북 청주 서원구 충북대학교에서 열린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1100조원에 육박하는 국가채무를 줄이기 위해 내년 예산부터 강력한 긴축에 나선다.

나라살림(재정수지) 적자 규모를 우리 경제 규모(국내총생산: GDP)의 3% 이내로 통제하기로 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 5년간 이어진 확장적 재정 기조를 철회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의 건전 재정 기조로 전환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공무원 정원·보수는 엄격하게 통제하고 전례 없는 초고강도 지출 구조조정도 단행한다.
정부는 7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충청북도 충북대학교에서 ‘바로 서는 나라재정! 도약하는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새정부 첫 국가재정전략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국가재정전략회의는 새정부 5년간 재정운용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내년 예산안과 2022~2026 국가재정운용계획도 이 회의 논의를 토대로 결정된다.

정부와 연합뉴스 등 보도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문재인 정부 5년 내내 유지됐던 확장재정 기조를 건전 재정 기조로 전환하기로 했다. 민간 주도로 한국 경제의 재도약을 뒷받침하고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재정을 긴축 기조로 바꾸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연말 기준 -5.1%로 예상되는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수준을 -3.0% 이내로 감축하기로 했다. 재정수지는 세입과 세출의 격차로 나라살림 현황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다. 재정수지 적자 수준을 현재(매년 약 100조원) 대비 약 2분의 1 수준인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되돌리겠다는 것이다.

연말 기준 49.7%인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50%대 중반에서 통제하기로 했다. 지난 5년간 국가채무 비율 증가 폭인 14.1%포인트의 약 3분의 1 수준에서 관리하겠다는 뜻이다.

정부는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했던 재정준칙은 더 단순하지만 더 강력한 내용을 담아 추진하기로 했다. 재정수지 기준 지표를 통합재정수지보다 더 엄격한 관리재정수지로 바꾸고 재정적자는 관리재정수지 -3% 이내로 통제하기로 했다. 단 국가채무가 60%를 초과하면 관리재정수지 목표는 더 강해진다.
시행령으로 두던 법적 근거는 법률로 격상시키고 시행 시기를 2025년이 아닌 법 개정 후 바로 시행하기로 한 점도 전 정부와 달라진 부분이다.

[그래픽] 국가채무 및 관리재정수지 추이. 그래픽=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그래픽] 국가채무 및 관리재정수지 추이. 그래픽=뉴시스

정부는 매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할 때 재정준칙의 준수 여부를 따진다.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 예외적인 상황에 따라 준칙을 어기면 다음연도엔 재정건전화 계획에 따라 준칙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예산을 편성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이런 원칙을 내년 예산안부터 즉시 적용하기로 했다.

세입에 특이변수가 없는 한 본예산 상 총지출 증가율이 지난 5년 평균인 9.0% 안팎에서 크게 낮아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코로나19 한시 지출을 정상화하는 등 역대 최고 수준의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하기로 했다. 재량지출뿐 아니라 의무지출, 계약에 따른 경직성 지출까지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한다.

학생 수 감소 등 교육환경 변화에도 내국세의 20.79%와 교육세 일부 등이 고정돼 비판을 받는 교육재정교부금도 개편하기로 했다. 교부금 중 교육세를 활용해 고등·평생교육지원 특별회계를 신설하는 방식이다.

공무원 정원·보수도 엄격하게 관리하기로 했다. 동결 또는 최소한의 인상·확대 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구 감소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30년 뒤를 겨냥한 재정운용 계획인 ‘재정비전 2050’도 연내에 만든다.

정부의 투자 방향성도 바꾼다.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은 ‘소액 나눠주기’식 양적 지원을 민간·시장 중심으로 바꾼다. 첨단 분야 신·증설을 위해 정원 기준을 완화하고 학과·전공 간 칸막이를 낮추는 등 대학규제를 개선하고 일자리 사업은 구조조정하기로 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