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험업계, 가입할 어린이 줄자 '어른이' 고객으로 돌파구

공유
0

보험업계, 가입할 어린이 줄자 '어른이' 고객으로 돌파구

10대 나이까지 가입 가능한 어린이보험 가입을 20~30대에게도 문호 열고, 보장 기간도 100세까지 늘려

이미지 확대보기
피보험자가 사망해야 보험금을 받을 수 있어 ‘유족 보험’이라 불리던 것이 종신보험이다. 하지만 요즘 판매되는 종신보험에선 노후 생활비나 치매 같은 '생전 보장'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인구구조 변화로 가장(家長)이 사후 가족 부양을 위해 종신 보험에 가입하는 일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아기 울음소리가 점점 사라지자, 보험사들은 20~30대 ‘어른이’들을 겨냥한 마케팅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에따라 저출생 시대에 걸맞게 어린이보험 상품의 성격이 변하고 시장도 점점 커지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인구구조가 바뀌면서 전통적인 보험 상품 간 경계도 불분명해지고 있다. 종신보험의 변신이 대표적이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사망률 감소와 저출생, 비혼 및 1인 가구 증가 등이 맞물리면서 사망보험 형태의 종신 보험에 대한 30~40대 수요가 크게 줄었다”며 “오히려 종신보험에 변액보험 성격이 결합되기 시작했다. 요즘엔 상속 재원 마련이나 요양, 수술 등 다양한 종류의 특약이 추가되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분석에 따르면 2011년 50건에 불과하던 생명보험사들의 종신보험 신상품 출시 건수도 2015년 118건으로 증가한 데 이어 작년에도 67건을 기록했다. 보험사들이 상품 구조 다변화를 통해서 종신보험 시장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아래에서는 저축성보험보다 '종신보험'이 유리한 만큼 생보사들이 종신보험에 공 들이는 측면도 있다. 고령화로 ‘유병장수’ 시대에 접어들면서 간편 보험의 가입 문턱도 낮추는 현상이 나타난다. 보통 간편보험 가입 심사 때 5년 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여러 중증 질환 이력을 확인하는데, 최근엔 암 발병 여부 한 가지만 체크하는 보험사도 있다.

저조한 출생률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보험 시장이 최근 크게 성장하는 것도 보험사들의 시장 확대 노력에 따른 것이다. 국내 5대 손해보험사의 어린이보험 신계약 건수는 2017년 63만6786건에서 작년 119만5450건으로 88% 늘었다. 올 상반기에는 53만8261건의 새로운 계약이 발생했다.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상해 등을 보장하는 어린이보험은 원래 10대 나이까지 가입할 수 있었다. 보험사들은 2018년부터 20~30대에게도 어린이보험의 문호를 열어주고, 보장 기간도 100세까지 늘리고 있다. 학교 폭력 피해나 틱장애 특약이 나오는 등 상품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다른 보험 대비 실속이 있다고 평가 받는 어린이보험을 일찍부터 자녀에게 들어주려는 수요가 늘어나는 것도 어린이보험 시장의 성장 요인이다.

은행과 증권사들이 퇴직연금 사업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 초고령화 시대에는 공적 연금만으론 온전한 노후생활을 보장받을 수 없다. 사적연금에 대한 관심이 커진 까닭이다. 로보어드바이저와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맞춤형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게 대표적이다. 특히, 다음달부터 퇴직연금을 알아서 굴려주는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관련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퇴직연금 수수료 수익은 2018년 3750억원에서 지난해 5752억원으로 53% 늘었다.

은행들은 향후에도 수수료 수익 확대에 중점 둘 전망이다. 하지만 고령화가 더 진행 될수록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로 인한 은행의 이자 수익은 쪼그라 들 수밖에 없다. 나이가 들수록 대출 수요도 줄기 때문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국내 은행의 예대율은 100%인데, 향후에는 70~80% 수준인 일본의 전철을 밟게 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이에 은행들은 프라이빗뱅킹(PB), 신탁 같은 자산관리(WM)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등 비이자 포트폴리오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