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금융협회. [사진=뉴시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allidxmake.php?idx=5&simg=20220802144812047999d71c7606b12113127174.jpg)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가 오는 5일부터 12일까지 공고를 내고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후보 모집 절차에 들어간다. 이는 지난 4월 김주현 전 협회장(현 금융위원장)의 임기 만료 이후 네달 만이다.
여신금융협회는 1차 심사를 통해 신청자 중 3명의 후보자를 추리고, 2차 심사를 거쳐 최종 후보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이후 최종후보자를 놓고 찬반 투표를 거친다. 때문에 업권에서는 차기 협회장 인선이 빨라야 다음달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업권에선 이번 여신금융협회장 인선이 각축장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전 협회장이 금융위원장으로 영전하면서 위상이 높아진 탓이다. 다만 협회장직이 상근화 된 지난 2010년 이후 4명의 협회장 중 3명이 관 출신이었던 데다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검찰 출신을 비롯해 관료들이 중용되고 있는 만큼 이번 협회장에도 관 출신이 유력하다는 평이다.
반대로 민간 출신 인사를 뽑아야 한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이는 김 전 협회장에 대한 업권의 실망감에서 기인했다는 평이다.
당초 김 전 협회장이 금융위원장으로 영전하며 업권의 분위기를 잘 대변해 줄 것으로 기대 모았지만 정작, 금융위가 발표한 금융규제혁신방안 36개 세부 과제 중 여신업계를 위한 정책은 카드사의 '데이터 활용 규제 개선'과 '플랫폼 비즈니스 활성화' 단 두개에 불과했다. 특히 여신협회의 건의사항이 무려 27건으로 은행협회(17건)를 크게 상회하는데다가 여신업계의 숙원인 적격비용 산정체계 개선안에 대한 내용마저도 빠져 있어 역차별 논란까지 불러일으킨 상황이다.
이에 업권을 잘 이해하는 민간 출신이 협회장으로 선출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하마평에 오르는 민간 출신 후보군은 서준희 전 BC카드 대표, 정원재 전 우리카드 대표, 박지우 전 KB캐피탈 대표 등이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현재 업계 상황이 전반적으로 어렵다. 차기 협회장에는 업계의 목소리를 잘 대변해주실 분이 선출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