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또 터진 새마을금고 횡령···"금융당국 규제·감독 강화해야"

공유
1

또 터진 새마을금고 횡령···"금융당국 규제·감독 강화해야"

지난 5월 송파 이어, 강릉서 22억원 규모 횡령사고 또 발생
허술한 내부 통제 반성, 금융당국 관리·감독 강화 필요

지난 5월 송파 새마을금고 횡령 사고에 이어 강원도 강릉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22억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또 다시 발생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5월 송파 새마을금고 횡령 사고에 이어 강원도 강릉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22억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또 다시 발생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강원도 강릉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22억원대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지난 5월 서울시 송파 새마을금고 횡령 사고에 이어 한 달 만에 다시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며 새마을금고의 허술한 내부 관리 통제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 감사를 통해 강릉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고객 예금과 적금 등 22억원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자 직원 2명이 경찰에 횡령죄와 배임죄를 저질렀다며 자수했다. 경찰은 자수한 두 사람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횡령과 배임 혐의로 입건하고, 감사가 끝나면 관련 자료를 토대로 본격 수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해당 새마을금고를 대상으로 금융사고 금액과 기간을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감사를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5월25일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윤리경영 실천에 대한 다짐 대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박차훈 회장은 "자산 250조 원의 위상과 명성에 걸맞은 윤리 경영을 확립해 새마을금고가 ESG경영을 선도하며 지역사회로부터 신뢰받는 금융기관이 되겠다“며 내부 통제 기능을 철저히 강화하고 임직원 대상 윤리경영 역량을 강화할 뜻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직원의 일탈이 이어지며 내부 통제 방식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더욱이 이같은 잇따른 횡령 사고의 이면에는 관리·감독 체계가 다른 상호금융권에 비해 부실하기 때문이란 지적도 나온다.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 소관으로 행안부가 요청하지 않으면 금융감독원이 독자적으로 새마을금고에 대해서 감독·검사를 할 수 없게 돼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소속인 신용협동조합은 제외하더라도 각기 소관부처가 있는 농협, 수협, 산림조합도 신용부문을 담당하나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중앙회가 1차적으로 감독 하고, 행안부가 이를 관할하고 있어 현행법상 감독권이 없는 상황이다.

행안부는 매년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대한 '정기종합감사'와 함께 매년 30개 금고를 선정해 행안부, 금감원, 새마을금고중앙회가 함께 정부합동감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10여 명의 행안부 지역금융지원 인력으로는 새마을금고를 전반적으로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한 보안책도 시급하다.

새마을금고중앙회 또한 내부 관리 통제를 위해 150~200명의 검사원이 2년에 1회 이상 전국 새마을금고를 정기적으로 검사하지만 전국에 본점만 1297개, 점포 수 3200여 개에 달하는 거대조직을 검사원만으로 꼼꼼히 점검하기에 한계를 지닌다.

금융권 일각에선 새마을금고중앙회의 내부 관리 통제 강화도 필요하지만 최근 금융감독원이 관리하는 은행권에서도 횡령 사건이 빈번한 만큼 금융당국의 보다 강력한 규제와 감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종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zzongy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