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센터 폐플라스틱 처리 비용 절감…연간 80톤의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 효과 기대

테라블록은 고분자로 중합돼 있는 PET(폴리에스테르)를 중합 이전 원료인 TPA(테레프탈신)과 EG(에틸렌글리콜)로 다시 되돌리는 ‘해중합’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해중합 기술을 활용하면 유색이나 혼합물이 있는 PET도 재활용할 수 있어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테라블록의 해중합 기술은 저온 상태에서 반응시간이 짧고 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기존 해중합 기술보다 온실가스를 90%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테라블록에서 해중합 처리된 재생원료인 TPA는 99% 순도를 자랑하며 재활용률도 97%에 이른다.
세븐일레븐과 테라블록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은 세븐일레븐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폐PET를 테라블록이 수거한 후 해중합 기술로 재활용 가능한 TPA로 되돌려 플라스틱 제조업체 등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공동 사업으로 세븐일레븐은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폐PET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테라블록은 수거한 폐PET에서 나온 TPA 판매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사회적 측면에서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통한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븐일레븐은 우선 인천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부터 테라블록을 통해 재활용화 하고 점차 전 물류센터로 넓혀갈 방침이다. 향후 테라블록이 세븐일레븐의 전 물류센터에서 발생한 폐플라스틱을 수거해 재활용화할 경우 연간 약 80톤의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세븐일레븐 측은 내다봤다.
앞서, 세븐일레븐은 지난 2월 점포에서 판매되는 플라스틱 얼음컵 레귤러사이즈를 자체 개발한 친환경 종이얼음컵으로 전면 교체하고, 3월 초에는 열분해유 플라스틱 원료인 ‘C-rPP’를 활용한 친환경 용기 도시락을 출시하는 등 점포 내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에도 앞장서고 있다.
또한 지난 12일에는 기존 먹거리 특화 플랫폼 ‘푸드드림’에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생활용품 코너, 친환경 리빙케어 제품 리필스테이션,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 시스템 등 친환경 요소를 더한 ‘푸드드림ECO’ 매장을 오픈하며 업계 ESG경영을 리드하고 있다.
이윤호 세븐일레븐 DT혁신팀장은 “점포 뿐 아니라 자체 물류센터에서 발생하는 폐플라스틱까지 재활용하는 등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며 “앞으로 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편의점의 신규 플라스틱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겠다”고 말했다.
송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sy1216@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