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늘어나는 국내 바이오생산시설, 일할 사람 없다는데…뒷짐진 인력수급 정책

공유
0

늘어나는 국내 바이오생산시설, 일할 사람 없다는데…뒷짐진 인력수급 정책

롯데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등 공장 건립
바이오협회, 향후 5년간 단순·전문직 최소 수천명 필요 호소
인력 빼오는 과정서 기술 유출 논란까지 "업계 분위기 험악"

최근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생산 공장이나 R&D 연구소를 잇따라 신설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은 물론 생산직 직원조차 태부족한 상황이다.(사진=픽사베이)
최근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생산 공장이나 R&D 연구소를 잇따라 신설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은 물론 생산직 직원조차 태부족한 상황이다.(사진=픽사베이)
최근 들어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위탁개발생산(CDMO)나 자체 제품 생산 공장을 적극적으로 대거 늘리고 있다. 이에 비해 단순 생산직은 물론 전문 인력까지 향후 5년간 수천명 수준의 직원 공급 방안이 요원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이런 가운데 정부는 기술 개발에만 정책 지원의 초점을 맞춰 관련 산업 전반에 걸친 인력 수급 생태계를 유지하기 까지 상당기간 현실과 겉돌 수 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바이오산업도 단순 생산직에 가깝지만 품질 관리나 원료 관리 등 생명공학이나 화학과 관련된 전문 분야가 다수 필요하다. 특히 CDMO 분야는 개발까지 병행하기 때문에 고스펙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숫자가 제한적이다보니 기업들이 사업 확장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기업들이 공장이나 R&D 연구소를 신설하고 있는데 이를 담당할 전문지식을 보유한 인력이 부족해 다른 기업에게 이직을 제의하는 추세"라며 "정부가 앞장서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산업 성장 규모와 맞는 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얼마 전 인천 송도에 국내 위탁생산(CMO)을 위한 메가플랜트를 건설하기 위한 의향서를 인천에 제출했다.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4공장 완공을 앞두고 있으며 신규로 5공장과 8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고 셀트리온도 3공장을 건설 중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를 비롯한 국내 바이오기업들 대다수도 송도에 공장 건설을 예고하면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수요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바이오협회는 각 기업별 진행 중인 상황에 따라 필요 인력의 수는 차이가 있겠지만 향후 5년간 최소 수 천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롯데바이오로직스만 하더라도 공장 설립과 향후 운영방안을 세부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기본적인 인력은 당장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정부는 이같은 산업 성장에 발맞춰 투자를 하겠다고 예고했지만 기술발전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해 윤석열 정부는 5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에 바이오헬스 산업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밝혔지만 인력 육성과 관련된 분야는 없었다. 향후 오는 2024년까지 신산업·첨단산업 분야 인재 1만3000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바이오헬스 분야는 125명에 불과했다.

반면 글로벌 인재 양성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적극 나서는 등 국내 인력 양성을 역차별한다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여줬다. 우리나라가 세계보건기구(WHO)의 중·저소득국의 백신 자급화를 바이오 역량을 키우기 위한 'WHO 인력양성 허브' 프로젝트에 국가로 지정됐다. 이에 중저소득 국가의 교육생들이 국내 바이오기업 생산 시설을 방문해 원자재, 제조, 포장 등 생산 공정 및 품질관리 전반에 대한 교육을 진행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 다른 곳에서 근무 중인 직원에게 이직을 제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술유출 의혹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롯데바이오로직스를 영업기밀 침해로 고발했다. 이직한 직원 3명이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핵심사업 관련 업무를 담당했고 롯데바이오로직스로 이직하기 전 대량의 문서를 출력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롯데바이오로직스 측은 업무 수행에 필요한 자료라 억울하고 관련 정보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검찰 조사와 관련해서는 성실히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전에도 바이오기업간의 이직과 관련해서 기술유출 논란이 자주 발생해 업계 분위기마저 험악해졌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 인력 양성에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업계과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몇년 전부터 바이오산업이 급성장하면서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이직, 진직을 통한 기술 유출이나 산업 스파이 등을 의심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다"면서 "이는 제한적인 인력 시장에서 원만한 수급 생태계만 유지된다면 어느 정도 해결될 문제"라며 안타까워 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