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안정적인 방역상황을 유지하고 일상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고위험군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올해 접종은 연 1회 4분기에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코로나19 백신 분야 전문가 자문회의와 예방접종 전문위원회를 거쳐 올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실시하기로 하는 내용의 '2023년 코로나19 백신접종 기본방향'을 수립했다. 접종 시기는 오는 10~11월이며 전 국민이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이중 고위험군에는 접종이 적극 권고된다. 고위험군에는 65세 이상 고령층, 요양병원·시설 등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종사자, 항암치료자·면역억제제 복용환자 등 면역저하자, 당뇨병·천식 등 기저질환자가 포함된다. 특히 면역저하자의 경우 항체 지속 기간이 짧은 점을 고려해 연 2회 2분기와 4분기에 접종하도록 했다.
접종에 활용되는 백신은 개발 동향과 유행 변이,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해 유연하게 정하기로 했다.
추진단은 "예상하지 못한 대유행 등 방역상황, 신규변이 출현 등 국내 유행변이 등에 따라 접종계획이 변동될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기에 접종이 시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