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새만금 수상태양광 지지부진...한수원, 원인 알지만 해법찾기 '미적미적'

공유
5

새만금 수상태양광 지지부진...한수원, 원인 알지만 해법찾기 '미적미적'

정부 허가 받아 놓고도 '내염성' 강한 기자재 안정수급에 난항...품질 기준도 마련하지 못해
업계 "연내 제품 기준 마련해야 내년 업체 선정·착공 가능...2025년 완공 목표 어려울 듯"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예정부지.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이미지 확대보기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단지 예정부지.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종합에너지기업으로 변신하기 위해 야심차게 추진하는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이 첫 삽을 뜨기도 전부터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지난 7월 전북 새만금방조제 내수면에 총 2.1기가와트(GW) 규모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기위원회로부터 허가받았으나 아직 기자재 공급업체 선정은 물론 새만금 환경에 맞는 해상태양광 기자재의 품질기준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한수원이 기자재 공급업체 선정에 난항을 겪는 이유는 바다염분 피해인 '염해(鹽害)' 환경에 맞는 태양광 모듈과 구조물 등 기자재를 안정적으로 다량 공급할 수 있는 업체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새만금방조제 내수면은 방조제 안쪽에 있기 때문에 내수면이지만 사실상 '바다'와 같다.

업계에 따르면 이 수상태양광 시설이 모두 완공되면 전체 시설 면적은 여의도의 약 10배에 이를 정도로 넓지만 새만금방조제에서 수상태양광시설까지 거리도 약 5㎞이다.

5㎞에 이르는 내수면은 사실상 바다와 같아 파고도 2~3m에 이르고 염분도 높다.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당초 포스코가 생산하는 초고내식 합금도금강판인 '포스맥(PosMAC)을 새만금 수상태양광 구조물 자재로 검토했다.

포스맥은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등을 섞어 도금한 강판으로 부식에 강해 수상태양광 자재로 각광받아 왔다.
그러나 포스맥을 용접하면 용접부위의 도금이 벗겨져 일반 철과 다름 없게 된다. 이를 알게 된 한수원이 이 자재로는 새만금 수상태양광 운영기간 20년을 견디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현재 포스맥 외에 수상태양광 구조물 자재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FRP(섬유 강화 플라스틱)가 있다.

이는 강화 플라스틱계 복합재질로 가볍고 내식성, 견고성, 성형성 등이 우수해 내수면 뿐 아니라 해상태양광에도 적합하지만 포스맥보다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한수원은 자재 선정뿐 아니라 모듈, 부력체 등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제품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해상용 모듈, 부력체, 자재 등 해양 환경에 적합한 제품을 아직 찾지 못했을 뿐 아니라 해양환경에 적합한 제품 기준도 마련하지 못해 업체들이 기준에 맞춰 제품을 만들수도 없다는 점이다.

한수원은 현재 1차로 300메가와트(㎿) 규모의 설계작업을 진행 중이고, 오는 2022년까지 1.2GW, 2025년 말까지 나머지를 완공한다는 목표이다.

당초 한수원의 목표대로 오는 2025년까지 2.1GW 규모를 완공하려면 늦어도 내년 하반기에는 착공해야 하고, 올해 말까지는 제품 기준을 마련해 내년 상반기 중에 공급업체들을 선정해야 한다.

그러나 2025년 완공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업계의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수원은 지난 2년간 해양환경에 부합하는 제품과 기술 개발에 매진해 온 많은 국내 태양광 업체들과 접촉해 왔는데 아직 제품 선정은 물론 품질 기준도 마련하지 못해 답답하다"면서 "현 추세라면 오는 2030년은 돼야 완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수원은 주민참여펀드 수익률을 7% 이상 보장할 수 있을 정도로 20년간 안정적으로 운영하려면 그만큼 저렴하면서 견고한 소재를 찾고 장기간 유지보수도 가능한 큰 업체를 찾아야 하는데 이런 업체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새만금 수상태양광 사업은 세계 최대 규모일뿐 아니라 염해 환경이라는 점에서 해외에서도 기술적으로 관심이 많은 사업"이라며 "한수원은 국내에서 기술력이 검증된 업체들과 협력해 해상태양광 제품 품질기준부터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