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안전성 의혹 끊이지 않는 보잉…이번엔 ‘787’기 산소계통에 문제 내부고발

공유
0

[글로벌-Biz 24] 안전성 의혹 끊이지 않는 보잉…이번엔 ‘787’기 산소계통에 문제 내부고발

사진은 보잉 ‘787-드림라이너’ 생산라인.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은 보잉 ‘787-드림라이너’ 생산라인.


미국 대형 항공기업체 보잉의 ‘787 드림라이너’에 대해 객실이 갑자기 진공상태가 되면 산소가 없어질 위험성이 있다고 전 종업원이 내부고발 하면서 파문이 일고 있다. 이 회사에서 품질관리 엔지니어로 일했던 존 버넷(57)은 공장의 생산라인에서 문제가 있는 부품이 고의적으로 장착되어 있었다고 주장했다. 보잉은 버넷의 주장을 부정하며 이 회사의 모든 항공기는 최고수준의 안전성과 품질로 제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잉은 현재도 ‘737-MAX’기의 잇단 추락사고로 항공당국의 고강도 조사를 받고 있다.
버넷은 보잉에서 32년 일한 뒤 2017년 3월에 건강을 이유로 퇴직했다. 2010년부터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노스 찰스턴에 있는 공장에서 품질관리를 담당했다. 이 공장은 ‘787-드림 라이너’를 제조하고 있는 2곳의 공장 중 하나다. 이 기종은 장거리선 전용의 초대형여객기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입 직후 초기엔 각종 트러블에 발생하기도 했지만 다양한 항공회사가 채용하면서 보잉의 핵심 수입원이 되고 있다.

그러나 버넷에 의하면 신형기를 보다 빨리 제조하려고 한 결과 공정을 서두른 결과 안전성이 손상되었다고 한다. 보잉은 이 주장을 전면부정하며 “안전성, 품질, 그리고 성실성이 보잉 가치기준의 핵심”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버넷은 BBC기자에게 2016년에 비상용 산소계통의 문제에 깨달았다고 설명했다. 비상용 산소계통은 항행 중에 객실여압시스템이 고장 났을 때 작동해 승객과 승무원의 생명을 지키는 주요장치다. 비상시 산소마스크가 천장에서 내려와 실린더를 통해 산소를 공급한다.

이 시스템이 없으면 기내에 있는 사람들은 바로 행동불능에 빠지게 된다. 상공 3만5,000피트(약 1만m)에서는 1분 이내에 정신을 잃게 되고, 상공 4만 피트에서는 그 시간이 20초로 좁혀진다. 실신 후에는 뇌에 손상을 가져와 죽음에 이를 수도 있다. 갑자기 감압이 일어나는 일은 드물지만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2018년 4월에는 미국 사우스웨스트 항공기의 부서진 엔진의 파편이 창문유리를 파손하면서 창가에 앉아 있던 승객 한명이 중상을 입었고 나머지 승무원과 승객은 긴급 산소마스크 덕분에 생명을 건질 수 있었다.

버넷은 작은 파손이 있던 시스템을 해체하고 있던 중 몇몇 산소통이 긴급 시에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버넷은 이후 보잉의 연구개발(R&D) 유닛에 이 시스템의 시험을 의뢰했다. 시험에서는 파손이 없는 “재고에서 갓 꺼낸” 산소계통을 사용해 기체에 설치했을 때와 같은 조건, 같은 요령으로 작동하도록 설정했다. 300기에 대해 시험한 결과 75기의 산소 계통이 작동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고장률은 25%에 이르며 4대 중 1대꼴이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그러나 버넷이 이 건을 더 추궁하려 하자 보잉 경영진들에게 막혔다고 한다. 버넷은 2017년에 미국 연방항공국(FAA)에 제보를 했지만 이를 문제시 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FAA는 보잉이 이 문제의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감싸는 한편 버넷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한편 보잉은 버넷의 주장을 부인하고 있다. 하지만 2017년에는 “한 유통업자로부터 공급된 산소탱크의 일부가 정상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는 것이 판명됐다. 이들 산소통을 항공기에서 제거하고 결함이 있는 산소통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공급업체에도 통고하고 있다”라고 결함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면서 “항공기에 설치되어 있는 승객용 산소계통은 모두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는지 인도전에 여러 번의 시험으로 체크하고 있다. 항공기에 설치되는 것은 시험을 통과한 설비뿐”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운항 시작 후에도 정기적으로 테스트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에서 부상하고 있는 의혹은 산소계통의 문제뿐만이 아니라고 한다. 버넷에 따르면 보잉에서는 기체의 조립공정에서 하나하나의 부품을 추적하게 되어 있는데 이 순서에도 실수가 있어 대량의 결함 부품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제조라인에서 압박을 받은 작업원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은 부품을 쓰레기통에서 가져와 기체에 장착하기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그러한 사태를 적어도 경영진의 한명은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사태는 “이 공장이 스케줄과 코스트관리가 엄격하기 때문에 시간단축을 위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FAA는 2017년 이 건에 대해 버넷의 주장을 거론하며 적어도 53점의 ‘부적격’ 부품소재를 알아보지 못하고 장착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으며, 보잉에 개선조치를 지시하기도 했다. 보잉은 이 점에 관해 FAA로부터 지시를 받은 이후는 부품 트레이서빌리티 (제조이력과 유통과정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FAA의 지적을 완전히 해결하고 재발방지책도 도입했다”고 하고 있다. 한편 완성된 기체에 부적격부품이 사용되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세부사항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이 회사 노스 찰스턴 공장 관계자는 그런 사태는 있을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버넷은 현재 이 문제를 지적한 것으로 보잉으로부터 명예가 손상되어 경력을 저해받아 최종적으로는 퇴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하여, 동사를 상대로 하여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 보잉은 이에 대해, 버넷은 오랜 세월 퇴직에 대해 계획하고 있었으며, 퇴직 자체도 자주적인 것이라고 하고 있다고 하고 있다. 동사는 보잉은 버넷이 원해서 선택한 직무를 계속하는 능력에 어떠한 마이너스 영향도 주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 종업원에 대해서 문제제기나 불복제기 수단을 많이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신청한 종업원을 보호하고 제기된 문제가 고려되기 위한 절차도 있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종업원에게는 우려사항을 신청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그런 경우에는 철저히 조사하고 전면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잉의 제조공정에 우려를 나타낸 종업원은 버넷뿐만이 아니다. 예를 들어 올해 3월 에티오피아 항공의 ‘737-MAX 8’기가 추락한 사건 후 FAA의 핫라인은 보잉의 전·현직 직원 4명에 의한 문제제기가 있었다고 한다.

버넷은 자신이 제기한 문제는 보잉의 “속도와 비용절감, 판매기수가 전부”라는 기업문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말한다. 또 경영진은 “안전성은 생각하지 않고 다만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만 궁금해 한다”고 지적했다. 보잉의 전 엔지니어 애덤 딕슨도 이 생각에 동참하고 있다. 딕슨은 과거 워싱턴 주 렝통의 공장에서 ‘737-MAX 8’기 개발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는 BBC의 취재에 대해 공장에는 “기체를 빨리 제조하라는 움직임, 생산수준을 올리라는 압력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가 있었던 부서는 항상 제조공정이나 품질에 대해 공장 측과 싸우고 있었지만 상사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올해 10월에 열린 보잉에 대한 청문회에서 민주당의 아루비오 실라 하원 의원은 ‘737-MAX 8’ 기종의 생산 라인에 참여했던 관리 직원의 이메일을 인용했다. 그에 따르면 이 관리직원은 “직원들이 오랜 기간 매우 높은 속도로 작업을 수행해 왔으며 지쳐있다”고 항의하고 있다. 또한 일정의 압력이 “직원이 의도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정을 빠뜨리는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게다가 이 관리직원은 인생에서 처음으로 자신의 가족이 보잉을 타게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피력하고 있다.

보잉은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FAA와 함께 “엄격한 검사프로세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모든 기체가 공장에서 반출되기 전에 복수의 안전성 검사나 시험비행을 받는 것 외에 다방면에 걸친 검사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안전성 프로세스에 대한 평가를 외부 위탁했는데 “FAA의 기체인가 수준과 보잉의 기체설계·엔지니어링에서 요구되는 수준이 엄격히 준수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그 후에 이 평가에 의해 “737-MAX의 설계와 개발 역시 안전한 기체를 만들기 위한 제조공정을 따르고 있는 것이 입증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런 평가의 한편으로 보잉은 올해 9월 안전구조에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제품과 서비스에 관한 안전조직’ 신설도 포함되어 있다. 이 조직은 제품안전성에 대해 모든 각도에서 평가를 실시하고, 불필요한 압력이나, 출처불명의 부품, 종업원이 제기한 안전성에 관한 우려 등을 조사한다고 한다. 이러한 가운데, 버넷은 제조에 종사한 기체의 안전성에 깊은 염려를 표명하며 “나 자신의 경험 및 과거의 비행기사고를 감안하면 787기에 뭔가 큰 사건이 일어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이 예상이 틀리기를 빌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