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공적연금(GPIF) 물량폭탄나올까?

공유
1

일본공적연금(GPIF) 물량폭탄나올까?

한국주식 7조 원 보유…전체 일본계자금 13조 원 추정

최근 한일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며 일본자금의 국내증시 이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진=글로벌 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최근 한일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며 일본자금의 국내증시 이탈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사진=글로벌 이코노믹 DB
최근 한일무역분쟁이 본격화되며 주식시장에서도 한일전쟁이 발발할지 초긴장상태다. 세계 최대 연기금 중 하나로 꼽히는 일본공적연금(GPIF)이 한국주식을 팔고 떠날 수 있다는 게 한일주식전쟁의 시나리오다. 단 GPIF의 국내 주식보유규모가 크지 않아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더라도 국내증시에 후폭풍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일무역분쟁에 일본공적연금(GPIF)이 국내증시를 떠날지 긴장하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3월 GPIF가 발표한 2018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GPIF가 한국 증시에 투자한 자금은 총 6조9210억 원이며 158개 종목에 투자했다.

일본공적연금(GPIF)은 한국의 국민연금에 해당하는 일본의 연기금으로 일본의 후생연금과 국민연금의 적립금을 운용하는 독립 행정법인이다. 지난 2017년말 기준 적림금 규모가 약 1600여조 원에 이른다.

전체 발행주식수 대비 GPIF가 가진 주식비중을 보면 그리 크지 않다. 삼성전자(0.65%) SK하이닉스(0.64%) 삼성전자우선주(0.79%) 포스코(0.7%) 네이버(0.71%) 신한금융지주(0.71%) 현대차(0.54%) 등이다.

이에 따라 국내증시에 유입된 일본자금도 GPIF를 포함해 약 12조 원~13조 원으로 추정된다. .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지난달 기자간담회에서 "일본계 자금 비중이 크지 않아 당장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며 "일본의 보복 이슈가 장기화하면 일본계 자금 흐름에 영향을 받아 다른 자금이 움직일 가능성도 있어 일본계 자금 지분율이 높은 기업 등 관련 자금 흐름을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일본계 자금이 이탈하더라도 그 충격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문제는 한일분쟁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일본계 자금이 단기간에, 한꺼번에 이탈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한일분쟁이 본격화되며 두 나라가 수출규제이슈에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7일 공포했다. 새롭게 개정된 개정안은 28일부터 시행된다.

백색국가는 일본 첨단제품 수출허가신청 면제국가를 뜻한다. 한국, 미국 등 27개국이 해당되며 안보에 문제가 없다고 평가한 나라들은 백색국가에 속해 있다

일본이 7일 수출 규제관련 시행세칙을 발표하면서 반도체 소재 3개 품목 외에 추가로 개별허가 품목을 지정하지 않았다. 이에 한국도 백색국가서 일본 제외논의를 보류하며 한일무역분쟁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전문가들은 GPIF가 한꺼번에 뺄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 글로벌 자산 배분차원에서 한국주식을 보유한데다, 그 비중도 미미해 굳이 털고 나가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 주식시장에 유입된 일본계 자금은 지난 6월말 기준으로 13조 원으로 2.3%에 불과하다”며 “최근 미중무역분쟁 확산 등에 주가가 급락한 상황에서 일본계 자금이 손실을 감수하고 보유한 주식을 전부 팔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성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