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원천기술 개발 지원...기업대상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 5일부터 가동

공유
2

KAIST, 원천기술 개발 지원...기업대상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 5일부터 가동

전·현직 교수 100여명 첨단소재 분과 등 5개 분과 자문위원 참여
159개 핵심소재·부품·장비 중견·중소기업 애로기술 개발·지원 자문

일본이 한국을 핵심소재 부품 공급 우대국에서 제외함에 따라 KAIST가 한국 기업의 원천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기술자문단을 발족해 가동에 들어갔다. 사진은 신성철 KAIST총장. 사진=KAIST
일본이 한국을 핵심소재 부품 공급 우대국에서 제외함에 따라 KAIST가 한국 기업의 원천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기술자문단을 발족해 가동에 들어갔다. 사진은 신성철 KAIST총장. 사진=KAIST
KAIST(카이스트)가 국내기업들의 핵심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발벗고 나섰다. 지난달에 이어 2일 일본이 우리나라를 수출심사 우대대상 국가인 화이트 국가에서 제외하는 2차 경제보복을 단행함에 따른 후속조치다.

KAIST는 지난 주말 신성철 총장 등 주요 보직교수들이 참석한 비상 간부회의에서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산업 분야의 핵심소재·부품·장비업체들의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해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KAMP: KAIST Advisors on Materials & Parts)'을 발족하기로 확정하고 5일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KAIST는 이어 `기술자문단'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후속 조치로 재정적·제도적 정비도 곧 추진키로 하는 한편 향후 운영 성과 등을 보고 지원 범위와 대상 등을 확대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이에 앞서 지난 3일 오후에 KAIST 전 교수들에게 보낸 이메일 서한을 통해 “과거 무력이 주도하던 시대에는 군인이 나라를 지키는 전사였지만 4차 산업혁명 기술패권 시대에는 과학기술인들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ˮ고 말했다.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단. 자료=KAIST이미지 확대보기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문단. 자료=KAIST


신 총장은 또 “KAIST는 과학기술 분야 고급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을 위한 국가적인 사명을 가지고 출범해 지난 48년간 이러한 시대적 사명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왔다ˮ고 역설했다.

신성철 총장은 이어 “한·일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현재의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새로운 시대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해 단기적으로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국내 중견·중소기업들의 애로 기술개발을 자문하는 ‘119 기술구급대’ 격인 기술자문단의 출범 사실을 알리고 중장기적으로는 KAIST가 해당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데 국가 전위대 역할을 해야 한다ˮ고 강조했다.

KAIST가 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수출규제 영향권에 들어설 것으로 유력한 1,194개 품목 중 우선 159개 소재·부품 등 관리 품목과 연관된 중견·중소기업의 애로기술 개발지원과 자문을 위해 자문단장 1명과 기술분과장 5명,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100여 명의 자문위원으로 구성된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출범시켰다.
자문단장은 전사적 차원의 지원 및 대응을 위해 최성율(Choi, Sung-Yool) 現 공과대학 부학장이 맡았다. 이어 기술분과는 ▲첨단소재분과(팀장: 이혁모·신소재공학과장) ▲화학·생물분과(팀장: 이영민·화학과장) ▲화공·장비분과(팀장: 이재우·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컴퓨터분과(팀장: 문재균·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항공분과(팀장: 이두용·기계공학과장) 등 모두 5개 분과로 이뤄지는데 관련 분야 학과장인 교수가 팀장직을 수행한다.

이밖에 기술분과마다 해당 분야의 명예교수와 현직교수 등 전·현직 교수가 20여 명씩 참여해 모두 100여 명으로 구성된 자문위원을 중심으로 주력산업 공급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159개 핵심품목과 관련한 중견·중소기업의 국산 원천기술 개발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신성철 총장은 “중견·중소기업 요청에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전담접수처를 운영하고 접수 즉시 각 분과 팀장이 자문위원 중 담당 교수를 지정해 관련 애로기술에 대한 진단 등 기업 현황 분석과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 그리고 연구개발 계획 수립 및 참여를 통해 문제해결에 이르기까지 밀착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ˮ고 설명했다.

신 총장은 또 “기술자문단은 KAIST 산학협력단 등 관련 조직과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전 주기적인 기술자문을 수행함으로써 반도체·친환경 자동차·에너지 저장장치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핵심소재·부품·장비 분야의 명실상부한 기술독립국으로서 혁신성장을 가속화 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닦는데 KAIST가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ˮ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KAIST로부터 기술자문을 희망하는 중견·중소기업은 기술자문 전담접수처인 042-350-6119로 직접 문의하거나 이메일 smbrnd@kaist.ac.kr로 신청하면 된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