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기업 총수, '일본發 악재'에 비상경영체제 돌입

공유
1

대기업 총수, '일본發 악재'에 비상경영체제 돌입

이재용 부회장, VIP 회동 대신 일본 방문…정의선 부회장·최태원 회장 등 돌파구 찾기 안간힘

국내 재계 1, 2위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부터)이 최근 잇따른 일본발(發)악재에 맞서  경영위기 타개책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재계 1, 2위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부터)이 최근 잇따른 일본발(發)악재에 맞서 경영위기 타개책을 마련하고 있다. 사진=각사
주요 대기업 총수들이 경기침체와 일본발(發) 경영악재에 맞서 비상경영제체에 돌입했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침체와 맞물려 국내 경기도 부진한 가운데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마저 불거져 주요 대기업은 해법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에 필수적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FPI), 포토 리지스트(PR), 고순도 불산(HF) 등 3개 소재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를 비롯해 현대차그룹, SK그룹, LG그룹, 롯데그룹 등 대기업 총수들은 여름휴가를 포기하고 하반기 경영전략을 짜는 등 비상경영을 선언했다.

엿새간의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지난 12일 귀국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귀국 다음날인 13일 디바이스솔루션(DS)-디스플레이 부문 최고 경영진을 소집해 긴급 사장단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 부회장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소재 수급 현황과 사업 영향, 그리고 향후 대책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도 예외는 아니다.

정 수석부회장은 올들어 현대·기아차가 지난해 최악의 부진에서 탈출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외 마케팅 상황을 점검하고 신사옥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개발 방안을 심도있게 검토 중이다.

그는 또 미래 전략차종인 자율주행차와 수소연료전지차 등을 세계 주요국과 신흥시장에 수출하는 글로벌 경영전략도 마련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주력사 가운데 하나인 SK하이닉스가 일본의 소재 수출 규제의 직접 타격을 입어 이에 대한 해법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SK하이닉스 사태로 최 회장이 해외 사업장을 시찰하는 일정은 당분간 없을 것”이라며 “최 회장이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규 성장동력을 발굴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SK그룹이 자동차 배터리사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정하고 베트남 등에서 관련 사업을 진행 중"이라며 "이에 따라 최 회장이 최근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총리를 만나는 등 현지 사업 개척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이달초부터 일본 도쿄를 방문해 현지 재계 유력 인사들을 만나고 있다. 이를 통해 신 회장은 최근 일본 수출규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사' 역할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신 회장은 베트남 등 중국 대체시장을 발굴하는 데 발벗고 나선다. 롯데는 2017년 우리 정부가 국내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설치해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으로 중국 현지에서 철수했다.

올해 재계 7위로 전년보다 한계단 상승한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마찬가지다. 한화그룹은 신재생 에너지와 방위산업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할 방침이다.

재계 관계자는 “주요 기업들이 국내외 악재에 맞서 사실상 자력 갱생의 길을 가고 있다”면서 “경기 침체가 최소 2∼3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대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성장 동력을 찾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정수남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er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