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 특정 부위에 의도적으로 변이를 추가해 성질 바꾸는 식품 증가

그러나 품종 개량의 과학이나 표시 제도의 구조가 잘 이해되지 않은 채 보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변형 식품은 안전하다는 주장보다 아무래도 위험시 하는 운동가의 눈에 띄며 매스미디어도 즐겨 보도한다. "시민의 불안은 큰데, 소비자는 아무것도 모른 채 먹게 된다......" 등의 이야기는 너무 자극적이라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
쉽게 정리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렇게 단순한 이야기는 될 수 없다. 꽤 복잡하고 어렵다.
품종개량에서는 가축이나 작물의 세포 안에서 유전자의 유전정보를 구성하는 DNA를 변형시킬 수 있는 효소를 이용해 특정 부위를 절단한다. 그러면 DNA를 구성하는 염기가 일부 빠지거나 다른 종류의 염기서열이 들어가기도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좋은 성질은 첨가하고 나쁜 성질은 억제된다.
가축의 유전자 변형에서는 절단할 수 있는 효소 등을 수정란에 직접 주사바늘로 주입해 DNA를 자른다. 한편, 작물은 세포벽이 있어 직접 주입할 수 없기 때문에 우선은 유전자 치환 기술에 의해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를 도입해 유전자변형 식물을 만든다.
게놈 편집 기술을 이용하면,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품종 개량할 수 있다.
김형근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hgkim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