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협은행, 슬그머니 '고금리' 카드론 출시…카드 사태 이후 처음

공유
0

수협은행, 슬그머니 '고금리' 카드론 출시…카드 사태 이후 처음

최고 연 20%대 카드론 상품 내놔

수협은행 광고 캡쳐 이미지 (이미지=수협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수협은행 광고 캡쳐 이미지 (이미지=수협은행)
카드 대출 영업에 소극적이던 수협은행이 2000년대 초반 카드 사태 이후 처음으로 카드론(장기카드대출) 상품을 출시하면서 태세 전환에 나섰다. 최근 금융당국의 잇딴 대출 규제 강화로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고, 수협은행 자체적으로도 고금리 대출 상품인 카드론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지난 3일 'Sh수협 카드론'을 출시했다. 최대 36개월까지 원리금균등분할상환으로 최대 3000만원까지 빌릴 수 있는 상품으로, 현재는 상품 출시 초기인만큼 자사 신용카드 고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모바일 등 온라인으로만 대출을 해주고 있다. 향후 자동화기기(ATM), 유선 전화, 고객센터, 텔레마케팅 등 영업 채널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수협은행은 신용불량자가 속출했던 2003년 카드사태 당시 카드론 영업을 중단한 이래 10여년만에 처음으로 다시 상품을 취급하는 것이다.

그동안 카드업과 은행업을 같이 하는 겸영은행으로서 수협은행은 카드론을 취급하지 않고 현금서비스(단기카드대출)만 취급했다. 농협은행이나 기업은행 등 다른 겸업은행들이 카드 고객들에 대해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을 모두 취급하며 자산을 늘려왔던 것에 비하면 수협은행은 마케팅에 소극적이었다.

이번에 수협은행이 카드론을 다시 취급하기로 한 것은 그동안 금융당국의 각종 대출 규제 강화와 경기 부진 등으로 대출 길이 막힌 서민들의 카드론 수요가 높아지고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카드사태 이후에 카드론 영업을 하지 않았다"며 "이번에 카드론을 내놓으면서 (보도자료 등을 통해) 알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어 "카드론을 취급하게 된 것은 고객 니즈(수요)에 따른 것"이라며 "그동안 수협카드를 이용하는 (일부) 고객들이 카드론 취급 등을 문의해왔다"고 말했다.

고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위해 현금서비스외에 대출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는 설명이다.

카드론은 고금리 대출 상품이다. 대출 절차가 간단해 긴급 생활자금이 필요한 자영업자 등 서민들이 활용하는 대출 상품으로, 금융사 입장에서는 보통 두자릿수의 금리로 대출을 해줄 수 있어 수익성이 좋다.
특히 2017년 이동빈 행장 취임 이후 공격적인 영업을 벌이고 있는 수협은행으로서는 쏠쏠한 이익을 남길 수 있는 대출 상품이 될 수 있다. 시중은행으로서 수협은행은 전업 카드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조달 비용에 비해 높은 금리를 매길 수 있는 상품이다.

이 행장 취임 이후 수협은행은 소매(리테일) 금융 강화를 강조하면서 공격적인 영업으로 자산은 늘렸으나 타 시중은행과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 개선세가 주춤하면서 피로도가 쌓이고 있는 상태다. 지난 1분기 기준 수협은행의 총자산순이익율(ROA)은 0.65%로 전년동기말보다 0.07%포인트 낮아지는데 그쳤다. 자기자본순이익율(ROE)는 9.12%로 0.76%포인트 하락했다. 대출금리 대비 예금금리 차이를 뜻하는 원화예대금리차(NIS)는 1.63%로 0.47%포인트, 순이자마진(NIM)은 1.47%로 0.35%포인트 낮아졌다.

더욱이 이번에 수협은행의 카드론 금리는 경쟁사에 비해 낮은 편도 아니어서 고객 편의를 위해 상품을 내놨다는 말이 무색하다. 수협은행의 카드론 금리는 최저 연 6.65%에서 최고 20.76%로, 농협은행의 카드론(연 6.9%~22.4%)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나 IBK기업은행의 카드론 6.3~19.2%에 비해서는 높게 책정됐다.

최근에는 금융당국의 중금리대출 확대 방침에 따라 전업 카드사들조차 기존보다 낮은 금리의 상품을 내놓을 계획이어서 수협은행의 카드론 금리는 더욱 도드라져보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롯데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등이 3개월 이내에 중금리대출 상품을 내놓으면서 금리를 최저 연 4.75%에서 최고 14.45%로 맞출 것으로 알려졌다.


이효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lh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