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韓 주요 기업 총수, 베트남·사우디에 잇단 러브콜

공유
0

韓 주요 기업 총수, 베트남·사우디에 잇단 러브콜

中 대체 시장으로 급부상…수요 젊고, 신성장 동력 산업 강화 등
이재용‧최태원·구광모‧신동빈, 베트남 총리와 만나 경제협력 요청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방한…삼성 등 회동 추진, ICT 협력유도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을 비롯해 국내 주요 기업 총수가 최근 베트남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신흥시장의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양국의 경제협력을 강화했다. 사진=각사이미지 확대보기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을 비롯해 국내 주요 기업 총수가 최근 베트남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신흥시장의 고위급 인사들과 만나 양국의 경제협력을 강화했다. 사진=각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국내 주요기업 총수가 베트남, 사우디아라비아 등 최근 신흥시장으로 떠오른 국가의 최고위급 관계자들과 접촉하면서 경제외교를 강화하고 나섰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우선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19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초청으로 자국의 경제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한 브엉 딘 후에 베트남 부총리와 만났다.
이 자리에서 신동빈 회장은 브엉 딘 후에 부총리에게 베트남 호치민시 투 티엠 신도시의 에코 스마트시티 복합단지 프로젝트와 하노이 롯데몰 사업의 협력을 요청했다. 롯데그룹은 2017년 베트남 호치민시와 협정을 체결하고, 호치민시 투 티엠 신도시 부지에 20조1000억 원을 투자해 금융, 상업, 서비스 복합기능단지 ‘에코 스마트 시티’를 짓기로 합의했다.

이어 20일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은 후에 부총리와 만나 바리아붕따우성 폴리프로필렌(PP) 공장과 광남성 타이어코드 공장 설립 등 신규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베트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조 회장은 “베트남은 효성의 핵심 제품을 모두 생산하는 복합 생산기지로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며 “효성과 베트남이 우호관계를 유지하고 협력을 강화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역시 같은 날 후에 부총리와 만나 양국의 경제협력 강화를 요청했다.

아울러 국적 기업 대표들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국가의 고위급 인사와도 접촉하면서 경제외교를 강화한다.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한국을 찾는다. 빈 살만 왕세자가 그동안 해외 순방 때마다 통 큰 경제협력을 약속해 국내 주요 기업들은 빈 살만 왕세자의 이번 방한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이 빈 살만 왕세자와의 만남을 추진하고 있는 파악됐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산업을 대체할 신성장산업을 찾고 있어서 이다.

이재용 부회장과 최태원 회장, 구광모 회장 등이 빈 살만 왕세자와의 만남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등 신산업 분야의 협력방안을 이끌어 낼 것으로 재계는 내다봤다. 빈 살만 왕세자가 고령인 부친을 대신해 사우디아라비아 정상 역할을 하고 있는 사실상 최고 실세이기 때문이다.

국적 기업이 중국 대체제로 최근 부상한 베트남, 중동 국가와의 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는 모양세 이다. 베트남 박닌성 옌퐁공단의 삼성전자 공장.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이미지 확대보기
국적 기업이 중국 대체제로 최근 부상한 베트남, 중동 국가와의 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는 모양세 이다. 베트남 박닌성 옌퐁공단의 삼성전자 공장.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이 같은 주요 기업들의 행보는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의 대체 시장으로 베트남과 중동 국가가 각광받고 있어서 이다.

현재 베트남은 인구 9456만 명 가운데 70%가 30대 이하 젊은 층인 ‘젊은 국가’로, 중국보다 값싼 노동력을 갖추면서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했다. 베트남은 한국의 4번째 무역 상대국으로 떠올랐으며, 한국과 베트남은 내년까지 교역규모가 1000억 달러(116조5200억 원) 에 달할 것으로 한국무역협회는 추산했다.

중동 역시 지리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동지중해와 페르시아만 사이에 위치하고, 풍부한 천연자원과 함께 큰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중동의 경우 최근 국제유가 회복으로, 경기 회복세가 탄력을 받고 있다.

중동 역시 15~64세의 생산가능 인구가 전체의 65%를 차지하는 등 젊은 인구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중동 국가가 나라 경제의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산업 다각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점도 우리 기업에는 긍정적 요인이다.

이를 감안해 우리나라는 ▲한-중동 협력포럼 ▲한-UAE 경제공동위원회 등 중동과 다양한 교류협력과 경제협력 추진하고 있다.

유승진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중국과 미국 수출 리스크가 상승하면서 수출선 다변화를 위한 중동 시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중동의 자본력과 우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지속가능한 협력방안에 대한 협의가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만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