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2026년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 수출 730억 달러 목표

공유
0

정부 2026년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 수출 730억 달러 목표

'5G+전략위원회'서 밝혀.. 5G 이동통신 장비 시장점유율 20% 목표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제 1회 5G+ 전략위원회’를 개최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업들의 5G 관련 투자를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 역시 과감한 정책 지원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박수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제 1회 5G+ 전략위원회’를 개최했다. 유영민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업들의 5G 관련 투자를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 역시 과감한 정책 지원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박수현 기자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원, 수출액 730억 달러를 달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5G 이동통신 장비 시장 점유율 20%,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0%(1위), 5G 기반 ARVR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 26%도 달성하기로 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열린 '제 1회 5G+전략위원회'에서 이 같은 목표를 제시했다. 이날 열린 전략위원회는 지난 4월 정부의 ‘5G플러스전략’ 발표 이후 마련된 첫 번째 논의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전략위 공동위원장인 유 장관을 비롯해 관련 부처 차관들과 통신·제조업, 관련 업계 대표와 관계자들이 참석해 5G 전략 추진방안과 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기업들의 5G 관련 투자를 가속화하기 위해 정부 역시 과감한 정책 지원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고 이통3사 대표들은 5G 커버리지 구축과 표준 확보, 콘텐츠 제작 지원 등 우리나라의 5G 경쟁력 성장에 대한 의견과 제안을 정부에 제안했다.

유영민 장관은 "글로벌 5G 전쟁의 서막이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보다 한 걸음 앞섰지만, 세계 1등 5G 강국에 많은 당면 과제가 존재한다"면서 "5G 플러스 성장은 정부 노력만으로 결실이 어렵고 기업과 공동 목표를 갖고 한 팀으로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5G 시장 선점을 위해 5G 표준 확보와 빠른 커버리지 구축을 비롯, ▲5G와 융합할 수 있는 자동차, 의료, 콘텐츠 등 관련 산업 분야와의 동반 성장 ▲정부·대·중소기업이 함께 하는 5G 생태계 조성 ▲인력 양성 등에 모두 공감했다.

박정호 SKT 사장은 회의에서 "현재 커버리지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라면서 "통신 장비 서플라이체인(공급사슬)이 잘 구축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양자통신 등의 차세대 보안기술을 통해 5G 보안 분야에서도 세계 최고를 달성한다면 ‘세계 최고 5G’의 의미가 더욱 커질 것"이라면서 "5G 분야에 대해 중소기업 역시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생태계 조성에 더욱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현재 우리나라가 전체 5G 표준 중 85%를 보유하고 있다"며 5G 관련 표준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황 회장은 스마트팩토리 분야 5G 모듈 개발 필요성을 역설했다. 황 회장은 "스마트팩토리 분야의 성장에 필요한 5G 모듈을 삼성이나 국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개발해주길 바란다"면서 "스마트팩토리 기술 중 하나인 협동로봇에 대한 표준을 국내에서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5G의 B2B 분야 성장을 위해 정부 차원의 세제 지원과 투자가 제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5G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과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를 강조했다. 하 부회장은 "5G 콘텐츠는 어느 한 사업자만 노력해서는 어렵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중소업체들도 5G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개방형 스튜디오나 장비 등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 부회장은 "지금까지의 하드웨어 중심의 성장에서 벗어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소프트웨어나 솔루션 중심으로 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이날 전략위원회의 안건보고와 지난 상반기의 민간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원, 수출액 73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한 세부 목표로 ▲5G 이동통신 장비 시장 점유율 20%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0%(1위) ▲5G 기반 ARVR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 26% 등을 설정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지속적인 현장 의견 수렴으로 향후 5G+전략산업 육성 실행방안을 구체화·보완하겠다는 방침이다.

김태유 전략위원회 공동위원장(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사이버시대에서 규제와 압박이 있으면 안 된다"면서 "정부와 기업이 함께 세계 최고의 5G 생태계 조성하고, 5G 조기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