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AI 신약개발' 시대가 열린다

공유
0

'AI 신약개발' 시대가 열린다

과기정통부‧복지부, AI 활용 플랫폼 구축 착수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추진에 나섰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이미지 확대보기
정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추진에 나섰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인공지능(AI)을 통해 신약을 개발하는 시대가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 앞으로 3년 동안 258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제약 시장은 연간 1200조 원에 달하는 거대 시장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우 연매출 1조 원 이상을 올릴 만큼 수익성이 크다. 일례로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의 '휴미라'는 연매출 18조 원으로 세계 1위 처방액을 기록 중이다.

다만 신약개발을 위해서는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1조 원 이상)과 10년 이상에 달하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규모가 제한적인 국내 제약사에게는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중요한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최근 진입장벽 극복을 위한 전략 중 하나로 AI를 활용한 신약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의료기술이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는 그동안 축적한 환자 연구 데이터 등이 풍부하다. 이를 또 다른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해 신약개발 역량을 높이는 기회로 만들 수 있다.

이에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통해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 일환으로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과 R&D 4조 원 규모 확대를 목표로 설정했으며 이를 통해 제약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혁신전략의 후속 조치다.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 신약개발의 기간과 비용을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의 핵심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AI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과 신약 재창출 그리고 스마트 약물감시 등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후보물질 발굴은 그동안의 실험 결과와 논문자료 등을 학습한 AI로 신약 후보물질을 빠르게 도출하는 방안이며 신약 재창출은 기존에 안정성이 검증된 약물의 새로운 효능을 발견, 신약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스마트 약물감시는 의약품 부작용 사례 학습을 통해 이상사례 발생 전 약물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15년→7~8년)까지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즉각 공개할 예정이며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플랫폼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약개발과 AI의 융합을 적극 지원,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