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Biz 24] 알리바바, 미중 관계 악화에 경영 압박'…홍콩 상장 서둘러

공유
0

[글로벌-Biz 24] 알리바바, 미중 관계 악화에 경영 압박'…홍콩 상장 서둘러

알리바바 주가 지난 1년간 22% 하락…'핀뚜어뚜어' 등 신흥 라이벌 부상도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 계획을 토대로, 내부 '균열'이 선명하게 드러났다는 견해가 대두됐다. 자료=알리바바이미지 확대보기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 계획을 토대로, 내부 '균열'이 선명하게 드러났다는 견해가 대두됐다. 자료=알리바바
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 알리바바그룹은 며칠 전, 뉴욕 증시에 이어 홍콩에서의 중복 상장에 따라 최대 200억 달러(약 23조8300억 원)의 조달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런데 알리바바의 이러한 홍콩 상장 계획을 토대로, 내부 '균열'이 선명하게 드러났다는 견해가 대두됐다.

홍콩 당국으로부터 상장 계획을 거절당해 뉴욕에서 신규주식공개(IPO)를 단행한 지 5년. 알리바바는 다시 홍콩에서의 상장을 목표로 하게 되었다. 하지만, 신생 창업 기업들과의 경쟁을 통해 새롭게 자금을 모으려고 하는 자세만으로도 "알리바바의 시장 독점이 위협받고 있는 모습이 비쳐보인다"는 평가와 함께, "(알리바바의) 상장은 험난한 길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 시간) 전했다.
당초 창업자 마윈 회장은 알리바바의 최초 상장 대상으로 홍콩 증시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홍콩 당국은 2014년 창립 맴버 대다수가 간부가 되어 이사회 대부분의 임명권을 쥐고 있는 마 회장의 기업 지배 구조를 문제 삼아 상장 신청 접수를 거부했다. 이 때문에 마 회장은 결국 홍콩을 포기하고 뉴욕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뉴욕 증시에서 알리바바는 역대 최대 규모인 250억 달러(약 39조7875억 원)를 모집하며 성공적인 IPO로 데뷔했다. 이후 알리바바는 충분한 자금력을 동원해 다양한 부문에 진출, IT에서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그리고 투자 경영까지 사세를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홍콩 거래소가 상장 요건을 완화하면서,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은 필연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또한 지금까지 알리바바의 홍콩 상장에 수많은 장점들도 어필되었다. 알리바바 주식은 기업 규모가 거의 같은 라이벌 기업 텐센트홀딩스에 비해 저렴한 수준에서 거래되어 왔으며, 홍콩 시장에서 IT 관련주가 적은 것도 이유 중 하나로 꼽혔다. 게다가 홍콩에 상장할 경우, 알리바바에 친숙한 중국 본토 투자자들의 자금에 접근하기 쉬워진다는 장점도 엿보인다. 이 때문에, 알리바바의 결심만 서면 홍콩 IPO는 몇 달 내에 일사천리로 이루어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을 호재로, 지난달 24일 알리바바 주식의 거래량은 약 33억 달러(약 3조9320억 원)에 이르러, 이날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 종목 중(달러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또한, 영업 현금 흐름도 1분기(1∼3월) 약 30억 달러(약 3조5745억 원)에 달했다.

하지만 "그래도 이 시기에 유동성과 자금을 요구하는 것은 아무래도 신경이 쓰인다"는 것이 업계 분석가들이 알리바바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알리바바가 "시장에서 유리한 입장에 있기 때문에, 홍콩에서 상장하는 것은 아닐 것"이라는 의문과 함께, 최근 중국의 경기가 '변조'를 초래하고 있으며, 무역과 하이테크 분야에서 미국과의 관계 악화가 알리바바의 경영을 압박함에 따라, 홍콩 증시 상장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입장에 처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실제 알리바바의 주가는 지난 1년간 22%나 하락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동남아시아에서의 전자상거래 사업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가 이루어졌지만, 어떤 사업도 아직 충분한 이익을 내지 못한 상태다. 다른 한편으로, 중국의 성장이 둔화 추세에 있으며, 공구방식의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장착한 e커머스(Commerce) 세력 '핀뚜어뚜어(拼多多, pinduoduo)' 등 신흥 라이벌의 부상에 따른 충격도 만만치 않다.

결국, 이러한 현실적인 상황들이 알리바바의 '균열'을 야기시키고 있으며, 홍콩 상장을 서두르는 사실로 정황이 "더 뚜렷해지는 모습"이라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


김길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