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조현범 한국타이어 '3세 경영' 흔들'...경영실적 바닥에 기업 윤리 마저 ‘낙제’

공유
1

조현범 한국타이어 '3세 경영' 흔들'...경영실적 바닥에 기업 윤리 마저 ‘낙제’

1 분기 영업익 24%·순이익 20% 급감…전년에 이은 실적 추락, 3세 경영 능력 의심
크고 작은 문제에 시달려…생산직원 170명사망·내부고발자 해고 등 기업윤리 도마위


조현범 한국타이어 대표   사진=뉴시스
조현범 한국타이어 대표 사진=뉴시스


조현범 한국타이어 대표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조현범 한국타이어 대표 사진=뉴시스
조현범(47) 대표가 이끄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옛 한국타이어)가 실적 악화에 크고 작은 기업 윤리 문제가 도마 위에 올라 '3세 경영'이 흔들리고 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올해 1분기 매출이 1조6425억 원으로 전년 동기(1조6091억 원)보다 2%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한국타이어는 경영 성적표의 척도인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406억 원으로 무려 23.9%(442억 원) 급락했다. 이 기간 분기순이익 역시 1232억 원으로 19.7%(303억 원) 줄었다.

한국타이어는 지난해에도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모두 전년보다 0.3%, 11.4%, 12.5% 감소하는 수모를 당했다.

생산직 직원 170여명이 사망하면서 한국타이어 측이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게 생산 직원들 주장이다. 서울 역삼동 한국타이어 앞에 걸린 현수막. 사진=정수남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생산직 직원 170여명이 사망하면서 한국타이어 측이 이를 해결해야 한다는 게 생산 직원들 주장이다. 서울 역삼동 한국타이어 앞에 걸린 현수막. 사진=정수남 기자
한국타이어는 경영 능력 지표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부진한 것이다. 현재 한국타이어는 조양래 회장 아래 조 회장 장남인 조현식 대표이사 부회장, 차남 조현범 대표이사 사장 등 3세 경영 체제를 구축했다.

특히 올해 국산차 산업이 상승세로 돌아선 점을 감안하면 한국타이어 경영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게 재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실제 올해 1∼ 4월 국산차 생산은 132만933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0.9%(1만2372대) 늘어 2017년 2.1%(411만4913대→402만8834대) 역성장을 극복했다. 현재 국산차 업체는 국내외 타이어 업체를 통해 신차용 타이어를 조달하고 있다.
이 같은 한국타이어의 추락은 최근 불거진 크고 작은 사내 문제 등에 따른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한국타이어는 2006년부터 연간 12명의 노동자가 사망하면서 시작된 산업재해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타이어 산재협의회는 최근 20년 간 한국타이어 사업장에서 돌연사와 혈액암, 각종 중대 질병으로 사망한 근로자가 170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한국타이어 직원들이 타이어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1급 발암물질 벤젠에 노출돼 사망했다는 게 협의회 설명이다.

한국타이어는 산재 현황을 고발한 직원을 해고하는 등 기업윤리가 땅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정수남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한국타이어는 산재 현황을 고발한 직원을 해고하는 등 기업윤리가 땅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정수남 기자
여기에 생산 직원들이 암 유발 물질인 카본블랙과 접착제 글루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지만 조 회장 3부자는 안전 기준조차 마련하지 않는다는 게 협의회 주장이다.

설상가상으로 한국타이어는 이 같은 산재 상황을 대외에 누출한 직원을 부당해고 하는 등 기업 윤리가 땅에 떨어졌다. 현재 서울 역삼동 한국타이어 사옥 앞에서 내부고발자 직원 부부가 1인 시위를 갖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타이어 공장에서 환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면서도 “2008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역학조사를 했지만 산업재해를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안다. 한국타이어 측이 이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관련해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완성차 업계 실적 개선이 타이어 업계 실적 개선으로 바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면서도 “신차 구입 후 타이어 교체 수요가 발생하는 최소 6개월에서 1년이 지나야 실적 개선세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부고발자는 자사 생산직 직원이었다. 이미 대법원 판결까지 난 사안이라 회사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정수남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er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