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조국 “문무일 우려 경청돼야…경찰 비대화 우려 깔끔히 해소돼야”

공유
0

조국 “문무일 우려 경청돼야…경찰 비대화 우려 깔끔히 해소돼야”

“검·경 모두 자신의 입장 말할 수 있다”
“검경수사권·경찰개혁안 올해 달성 희망”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이 6일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검경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경찰권력이 비대화된다는 우려가 깔끔히 해소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조국 페이스북)이미지 확대보기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이 6일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검경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경찰권력이 비대화된다는 우려가 깔끔히 해소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조국 페이스북)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이 6일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검경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경찰권력이 비대화된다는 우려가 깔끔히 해소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 수석은 이날 페이스북에 “검경수사권 조정안이 법제화되면, 경찰에게 ‘1차 수사종결권’이 부여되므로 경찰권력이 비대화된다는 우려가 있다”며 “경찰의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검사의 사후적 통제방안은 마련되어 있지만, 이 우려는 깔끔히 해소되어야 한다. 문무일 검찰총장의 우려 역시 경청돼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문무일 검찰총장은 “현재 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된 법률안들은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원리에 반한다”며 “특정한 기관에 통제받지 않는 1차 수사권과 국가정보권이 결합된 독점적 권능을 부여하고 있다”며 검경수사권 조정 방안에 비판적 발언을 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수사권조정안(형사소송법 개정안)은 검찰의 경찰에 대한 수사지휘를 폐지하고, 경찰이 1차 수사권과 1차 수사종결권을 갖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검찰은 여전히 기소권을 갖지만, 사건이 경찰로부터 송치 됐을 때 수사에 착수할 수 있으며, 검찰의 1차적 직접 수사는 공직자 범죄, 경제, 금융, 선거범죄 등에 한정된다. 대신 검찰은 경찰이 수사를 부당하게 종결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수사를 요구할 수 있는 견제 장치를 갖는다.

현재 검찰은 이 안대로 검경수사권 조정안이 법제화 될 경우, 경찰의 초동수사 미비나 인권 침해 등을 인지하기 어려워지고 경찰에 대한 사법통제가 사라져 국민의 권리가 침해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감추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조 수석은 “문무일 검찰총장의 우려 역시 경청돼야 한다”거나 “검찰도 경찰도 입법절차에서 자신의 입장을 재차 제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총장의 발언은 검찰 수장의 항명으로 불릴 정도로 수사권 조정안을 둘러싼 갈등을 재점화시킨 모양새다. 하지만 조 수석은 이를 이해한다는 입장을 폈다.
조 수석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첫째로 “자치경찰제 도입을 통한 경찰권력의 분산, 경찰 내부에서 수사경찰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국가수사본부'의 창설 등을 성취하기 위하여 경찰법 전면개정안이 당정청 협의를 통하여 2019년 3월 홍익표 의원 대표발의안으로 제출되어 있으며, 세부 작업이 진행 중이다. 검찰이 주장하는 ‘연방제형 자치경찰제’는 개헌이 필요한 사안이고, 몇 단계를 뛰어 넘는 변화이기에 당정청은 이를 택하지 않았다”고 설명성 글을 덧붙이기도 했다.

그는 또 “최종적 선택은 입법자의 몫이고, 그것은 검찰이건 경찰이건 청와대건 존중해야 한다. 검찰도 경찰도 청와대도 국회가 아니다”며 법안 수정과 보완을 맡을 국회의 결정을 따라야 한다는 대전제를 재차 강조했다.

또 “박근혜 정부 시절 정보경찰의 불법활동에 대해서는 검찰수사가 진행 중이며, 위법활동을 한 정보경찰 책임자들은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검경수사권 조정안이 법제화되면, 경찰에게 ‘1차 수사종결권’이 부여되므로 경찰권력이 비대화된다는 우려가 있다. 경찰의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검사의 사후적 통제방안은 마련되어 있지만, 이 우려는 깔끔히 해소되어야 한다. 문무일 검찰총장의 우려 역시 경청되어야 한다. 공수처에 대한 국민지지는 75%를 넘는 것에 비하여―문 총장도 공수처를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국회에서 명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수사권조정에 대한 지지는 이하처럼 58% 정도이다”라고 썼다.

아울러 조 수석은 “경찰개혁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정보경찰의 혁신 작업이 진행 중이며, 경찰대 졸업자의 내부권력 독점을 막기 위한 경찰대 개혁은 2019년 3월 이미 결정되어 집행되었다”고도 말했다.

조 수석은 마지막으로 “패스트트랙에 오른 검경 수사권조정안은 입법과정에서 일정한 수정·보완이 있을 것이다. 검찰도 경찰도 입법절차에서 자신의 입장을 재차 제출할 수 있다. 그러나 최종적 선택은 입법자의 몫이고, 그것은 검찰이건 경찰이건 청와대건 존중해야 한다. 검찰도 경찰도 청와대도 국회가 아니다. 문재인 정부의 권력기관 개혁은 특정 기관의 이익을 위하여 진행되지 않는다. 형벌권집행기관의 경우 공수처-검찰-경찰 상호 견제와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가 되었고, 국회의 권위를 존중하며 진행된다. 검경 수사권조정 최종법안과 위 1 & 2 두 가지 경찰개혁안이 모두 올해 내로 달성되길 간절히 희망한다”고 썼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