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박사 진단] 美 1분기 깜짝 성장 vs 한국 마이너스 0.3%

공유
1

[김박사 진단] 美 1분기 깜짝 성장 vs 한국 마이너스 0.3%

 美 1분기 깜짝 성장 vs  한국 마이너스 0.3%…  성공과 실패를 가른 5가지 차이는?  이미지 확대보기
美 1분기 깜짝 성장 vs 한국 마이너스 0.3%… 성공과 실패를 가른 5가지 차이는?
미국 경제가 1분기에 깜짝 성장을 했다.

27일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3.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뉴욕증시에서 예측한 시장 컨센서스는 2.5% 였다.

여기에 비하면 3.2%의 성장률은 크게 높은 것이다.

어닝 서프라이즈 또는 '성장 서프라이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연말·연초 연방정부 셧다운 쇼크 등을 감안할 때 극적인 반전이다.

미국의 분기 성장률은 2018년 2분기 4%대로 정점을 찍은 이후 3분기 3.4%, 4분기 2.2%로 급격히 하락한 바 있다.

이를 다시 3%대로 끌어 올린 것이다.
한국의 1분기 마이너스 0.3% 성장률과는 큰 차이가 난다.

성공과 실패를 가른 차이는 무엇일까?

미국 경제가 호전된 이유로는 우선 미국의 세율 인하를 들 수 있다.

법인세 등을 낮추어 기업의 경비를 줄여 이를 성장의 원동력으로 활용한 대목이 돋보인다.

반면 한국에서는 세금을 더 많이 걷는 쪽으로 정책이 집중됐다.

무엇보다 세계 최대 경제권이 예상보다는 빠른 속도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의미로, 글로벌 경기를 둘러싼 이른바 'R(Recession·경기침체)의 공포'도 다소 진정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1분기 실질 GDP가 연율로 3.2% 성장했다"면서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고 밝혔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CNBC 방송에 출연해 "압도적인 수치"라면서 "현재 경제는 모멘텀을 잃는 것이 아닌, 모멘텀을 얻어가는 호경기 사이클에 있다"고 평가했다.

'성장 훈풍'에 뉴욕증시는 또다시 최고치를 찍었다.

뉴욕증시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3.71포인트(0.47%) 상승한 2,939.8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7.72포인트(0.34%) 오른 8,146.40에 각각 거래를 마치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 23일에도 나란히 최고치에 올라선 바 있다.

다만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장밋빛'만은 아니라는 신중론이 나온다.

새해 들어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됐고, 재고가 급증하면서 성장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순수출은 약 1%포인트, 재고는 약 0.7%포인트씩 1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모두 일시적인 측면이 강한 지표들이어서 지속가능성이 의문시된다는 것이다. 특히 재고지표는 변동성이 크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분기 성장률에 기여한 일부 요인들은 일시적이라는 게 많은 이코노미스트의 진단"이라고 전했다.

오히려 경제의 펀더멘털에 해당하는 소비와 투자는 둔화했다. 특히 미국 경제활동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소비지출 증가율은 작년 4분기 2.5%에서 올해 1분기 1.2%로 '반토막'이 났다.

1분기 '깜짝 성장'은 기본적으로 미국 경제의 강한 체력을 반영하는 것이지만, 장기적인 낙관론으로 확대해석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 모건스탠리는 2분기 성장전망치를 1.1%로 낮춰잡았다고 CNBC 방송은 전했다.

US Q1 GDP Growth Beats Forecasts

The US economy grew by an annualized 3.2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of 2019, easily beating market expectations of 2 percent and following a 2.2 percent expansion in the previous three-month period.

Positive contributions came from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0.82 percentage points), private inventory investment (0.65 percentage points), exports (0.45 percentage points), state and local government spending (0.41 percentage points), and nonresidential fixed investment (0.38 percentage points). Imports, which are a subtraction in the calculation of GDP, decreased, posting a positive contribution of 0.58 percentage points. These contributions were partly offset by a decrease in residential investment (-0.11 percentage points).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PCE) advanced 1.2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easing from a 2.5 percent increase in the previous period, mainly due to a fall in consumption of goods (-0.7 percent vs 2.6 percent in Q4), in particular durable goods (-5.3 percent vs 3.6 percent). By contrast, services consumption growth remained solid (2 percent vs 2.4 percent).

Exports jumped 3.7 percent, after a 1.8 percent rise in Q4, boosted by sales of both goods (4.7 percent vs 1.2 percent) and services (1.8 percent vs 2.7 percent). On the other hand, imports declined 3.7 percent, the largest drop since the fourth quarter of 2012, following a 2 percent climb in Q4. Purchases of goods plunged 4.4 percent (vs 0.5 percent in Q4) and imports of services fell 0.8 percent (vs 8.6 percent in Q4).

State and local spending surged 3.9 percent, the most since the first quarter of 2016, reversing a 1.3 percent drop in the fourth quarter of 2018.

Nonresidential fixed investment increased 2.7 percent, compared to a 5.4 percent advance in the previous three-month period. Investment in intellectual property products led the gains (8.6 percent vs 10.7 percent), followed by equipment (0.2 percent vs 6.6 percent). By contrast, investment in structures fell for the third straight quarter (-0.8 percent vs -3.9 percent).

Meanwhile, residential investment shrank for the fifth straight period (-2.8 percent vs -4.7 percent), the first such instance since the financial crisis.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 소장/ 경제학 박사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