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의 국방기술 세계 6위...1위는 미국, 한국은 9위

공유
0

중국의 국방기술 세계 6위...1위는 미국, 한국은 9위

중국판 이지스함이라는 052D형과 최신잠수함 등 무기를 찍어내듯 도입하고 있는 것은 국방기술력이 뒷받침하기에 가능하다. 실제로 중국의 국방기술력은 세계 6위라는 평가가 나왔다.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사진=국방기술품질원이미지 확대보기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 사진=국방기술품질원

방위사업청 산하 연구기관인 국방기술품질원(기품원)은 16일 발간한 '2018 국가별 국방과학기술 수준조사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세계 주요국 국방과학기술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서에 따르면,부동의 1위는 미국이었고, 프랑스와 러시아가 공동 2위를 차지했다. 독일, 영국, 중국, 일본, 이스라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미국이 F-35 등 신무기 개발로 기술 수준이 상승하면서 미국과 비교한 대부분 국가의 기술 수준은 하락하거나 현상유지에 머물렀다.
2018년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사진=국방기술품질원이미지 확대보기
2018년 국가별 국방과학기술수준.사진=국방기술품질원


반면 중국은 최신 잠수함, 6세대 전투기, 극초음속 유도탄 개발 등에 힘입어 주요국 중 유일하게 상대적 기술 수준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래서 순위도 전년보다 한 단계 뛰었다. 중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미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100으로 할 때 85로 평가됐다.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기동, 함정, 항공·우주, 화력, 방호, 기타(국방M&S, 국방SW) 등 8대 분야별로 중국은 진일보한 것으로 기품원은 평가했다. 지휘통제통신분야의 중국 기술 수준은 85로 7위, 감시정찰은 84점으로 역시 7위로 평가받았다. 기동분야는 81점으로 9위, 함정분야는 88점으로 6위에 올랐다. 특히 항공우주는 89로 4위, 화력은 85점으로 6위로 각각 평가받았다. 방호와 기타는 각각 86점과 80점으로 7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이 높은 점수를 얻은 것은 중국이 경제력 발전에 힘입어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한 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중국의 공식 국방비는 2007년 778억 달러에서 매년 증가해 2011년 1016억 달러로 1000억 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2017년에는 1569억 달러로 1500억 달러를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1704억 달러에 도달했다. 이는 어디까지나 중국 정부의 공식 통계일 뿐이다. 중국은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국방비를 지출했을 것이라는 게 군사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중국의 공식 국방비 지출 추이. 자료=미국 국방부, 단위 10억달러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의 공식 국방비 지출 추이. 자료=미국 국방부, 단위 10억달러


기품원은 독일과 영국, 중국, 일본과 이스라엘, 한국, 이탈리아를 선진권으로 분류했다.

한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은 주요 16개국 중 이탈리아와 함께 공동 9위로, 지난 2015년과 동일한 순위로 평가됐다. 우리나라의 국방 기술 수준은 미국의 80%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

국가별 8대 분야별 국방과학기술 수준. 사진=국방기술품질원이미지 확대보기
국가별 8대 분야별 국방과학기술 수준. 사진=국방기술품질원


한국은 K9 자주포 성능개량, 155㎜ 사거리 연장탄 개발, 지대공 유도무기 개발 등 화력분야 기술 수준이 두드러졌고, 지휘통제, 레이더, 수중감시 등의 무기체계에서도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26개 세부 무기체계 유형별로는 지휘통제, 레이더, 수중감시, 잠수함, 탄약, 유도무기, 수중유도, 화생방체계의 기술수준이 상승했고, 잠수함 체계· 전투체계, 잠수함 탑재용 소나, 수중유도 핵심기술 개발 등에서 기술수준 상승에 기여했다고 기품은 밝혔다.

그러나 지상무·해양무인·항공무인 등 무인체계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는 연구개발이 다소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기품원은 3년마다 세계 주요국의 국방과학기술 수준을 평가하는 국방과학기술수준 평가서를 발간하고 합참과 육·해·공군 등에 배포하고 있다.조사서는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기동, 함정, 항공·우주, 화력, 방호, 기타(국방M&S, 국방SW) 등 8대 분야별 무기체계를 평가한다.


박희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