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영상뉴스] 벌과 물고기 간 통역 로봇 개발

공유
0

[영상뉴스] 벌과 물고기 간 통역 로봇 개발

이미지 확대보기


벌과 물고기 간 대화(소통)가 가능할까? 이 상상하기 힘든 일이 실현됐다. 물고기 집단의 헤엄치는 결정이 1000km 떨어진 벌집단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그 반대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아직은 콘셉트 증명 수준이지만 의미는 작지 않아 보인다.
더사이언티스트에 따르면 과학자들은 오스트리아 그라츠에 있는 어린 꿀벌과 상호작용하는 로봇이 스위스 로잔에 있는 스위스연방공대(EPFL)의 상호작용 방식 물고기 로봇들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다른 종 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물고기와 꿀벌은 통역자 역할을 하는 로봇의 도움을 받아 ‘대화’를 한다. 벌 로봇과 물고기 로봇들의 상호작용이 각 동물그룹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동물의 생체신호를 읽고 그에 따라 해석하는 원리로 개발됐다.

파리 디드로 대학 물리학자인 호세 할로이는 새로운 실험을 위해 스위스연방공대(EPFL),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교 등과 협력해 인터넷 통신 기술로 다른 두 종(벌-물고기) 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는 자연상태에서는 상호작용하지 않는 두 개의 다른 종인 꿀벌과 제브라 피쉬를 가지고 실험했는데 이들은 1000km 이상 떨어진 곳에 있었다. 공동연구자이자 사이언스로보틱스지 논문 공저자 프랑크 보넷은 “우리가 한 일은 극단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연구진은 30분간 이뤄진 실험에서 이들 동물에 집단적 선택을 하도록 제시했다.

꿀벌의 경우 선택지는 두 개의 열 방출 로봇 중 어느 쪽에 모일지를 결정하는 것이었고, 제브라 피쉬의 경우 로봇물고기와 함께 있는 도넛 모양의 탱크에서 어느 방향으로 헤엄치는가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제브라 피쉬 그룹과 난 지 하루된 꿀벌에 합류시킨 로봇을 통해 이 두 종(species)이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은 특별히 고안된 미니 로봇과 단말기를 사용해 두 개의 분리된 종들 간 통신을 가능케 했다.

이들은 벌떼 속에 작은 단말기(로봇) 2개를 심었고 1000km 떨어진 곳에 있는 물고기 떼 사이에 로봇 물고기 한 마리를 넣었다. 이후 물리적으로 분리된 두 생물 군체에서 나오는 신호들은 두 다른 종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됐다.


취재=이재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