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인근에 자리한 핸드드립카페 ‘고종의 아침’은 문을 닫았다. 영업 종료와 함께 가게에는 임대문의를 받는다는 안내문이 내걸렸다. ‘고종의 아침’ 반경 1㎞ 안에는 스타벅스 점포 6개가 있다.
예술의 전당과 ‘고종의 아침’ 사이에 있는 사거리에 두 개, 남부터미널에서 ‘고종의 아침’이 있는 골목길로 들어가는 입구에도 한 곳이 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장소에서 ‘고종의 아침’으로 이어지는 길목마다 스타벅스 매장이 있는 셈이다. ‘고종의 아침’ 한 곳만 겪는 일이 아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주변에 스타벅스가 생긴 뒤 경영난을 호소하는 카페 주인들이 많다”고 전했다.
스타벅스는 강남, 여의도, 광화문 등 목 좋은 오피스 상권을 중심으로 1200여개의 매장을 내며 가파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스타벅스가 지난해 4월 공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스타벅스의 지난해 매출은 약 1조2635억원으로 전년(약 1조28억원)보다 약 2600억원(25.99%)이 껑충 뛰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291억4243만원(34.18%)가 치솟았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는 “스타벅스 점포가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을 보호할 대책이 필요하다”며 “스타벅스 매장이 들어서면 임대료가 올라 경영이 더 어려워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커피찌꺼기 비료 제공 건은 요청하지도 않았는데 스타벅스가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제시했다”며 “쓸 데도 없고 받을 생각도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김형수 기자 hyu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