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영상뉴스] 中 인민은행 '경기부양책', 전 세계 중앙은행 유동성 공급 부추겨

공유
0

[영상뉴스] 中 인민은행 '경기부양책', 전 세계 중앙은행 유동성 공급 부추겨

이미지 확대보기


올해는 지난 10년 만에 처음으로, 전 세계 중앙은행의 시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줄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이라는 게 당초 전망이었다. 그런데 중국을 비롯해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국가들의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전 세계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이 증가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연준), 유럽중앙은행(ECB), 영국 잉글랜드은행(BOE), 일본 은행(BOJ) 등 주요 4대 중앙은행은 연내에 밸런스시트(대차대조표)를 총 2000억 달러(약 224조4000억원) 남짓 축소시킬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국 인민은행은 4일 시중 전체 은행에 대한 지급준비율을 1포인트 인하, 이러한 흐름에 역행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을 늘려, 경제 성장을 지탱하기 위한 경기부양책 중 하나로, 지급준비율 인하에 따라 시장에는 8000억위안(약 130조7440억원) 규모의 유동성이 공급될 것으로 기대됐다.

이 같은 중국의 유동성 공급 소식 이후, 올해 각국 중앙은행의 시장에 대한 자금 흐름은 당초 예상을 벗어나 플러스를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실제 중국 당국이 경기 부양에 매진하고 있는 점을 이유로, 올해 시장으로부터 1000억달러의 자금이 인상된다고 한 작년 8월의 예상이 '1400억달러 유입'으로 수정됐다.

중국의 지급준비율 인하는 지난 1년 동안 5번에 걸쳐 이뤄졌으며, 이번 인하폭이 가장 컸다. S&P의 추정에 따르면, 지난 5회 지급준비율 인하에 따른 시중 유동성 공급의 합계는 이번 8000억위안을 합쳐 3조위안(약 497조7900억원)에 이른다. 이는 무엇보다 경기에 경계 신호가 켜졌다는 것인데, 이와 동일한 문제는 중국만 겪고 있는 것이 아니다.

투자자나 혹은 중앙은행의 당국자도 경기 침체의 징후에 대한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물론 중국에서 그것이 눈에 띄지만, 미국과 유로존에게도 불안은 있어 대부분의 주식 시장이 '마이너스권'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 실제 ECB는 지난해 말 3년에 걸친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종료했으며, Fed도 지난해 10월 이후 월간 500억달러(약 56조600억원) 규모로 밸런스시트를 줄여 왔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하고 있다.

이러한 기세로 경기가 더욱 나빠질 경우, 중앙은행은 꼼짝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Fed는 밸런스시트의 축소 페이스를 늦추고, ECB는 금융 완화를 재개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보는 투자자가 최근 늘고 있는 이유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지난주 "시장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발언했다. 그리고 9일 발표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요지'에서는 Fed 당국자들이 밸런스시트 감축 계획의 재검토에 적극적인 자세를 나타낸 것이 밝혀졌다. 이어 10일 공표된 ECB 이사회의 의사요지에는 이사회에서 금융 기관 전용의 새로운 자금 공급 시장 조작이 논의되었다는 기술도 엿보인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서 중앙은행이 직면한 이율배반(二律背反)적 상황을 읽을 수 있다. 중앙은행은 시장으로부터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흡수하고 싶지만, 이런 정책을 추진하면 돈줄로 지탱해 온 자산 시장에 타격을 줄 위험이 있다는 모순적 고민이다.

심지어 전례없는 경기부양책을 몇 년 동안 지속해 온 결과, 주식 시장은 지속 불가능한 수준까지 상승하고, 저신용 등급의 채권에 대한 문의가 사상 최대까지 높아졌다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선진국이나 신흥국 모두 동일한 것이다. 이에 대해 영국 투자자문사 크로스보더 캐피털(CBC)은 세계 중앙은행의 80%는 '긴축모드'에 빠진 것으로 평가한 바 있다.

주요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저비용 자금에 의존하는 시장에 있어서 올해가 중요한 해임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중국이 금융 완화를 계속할 경우 전 세계 중앙은행도 이에 발맞춰 따라올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향후 각국 정책 담당자가 "유동성 흡수 계획을 철회할지" 여부와 "중앙은행의 지급준비율 완화가 얼마나 가속화될지"에 대해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취재=김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