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Military]동북아 최강의 지상작전 사령부 드디어 떴다.

공유
1

[G-Military]동북아 최강의 지상작전 사령부 드디어 떴다.

[글로벌이코노믹 박희준 기자] 육군의 4분의 3을 지휘하는 매머드급 부대인 지상작전사령부(지작사)가 출범했다. 지작사는 휴전선을 포함해 경기 지역 전방 작전을 지휘하는 최상위 야전부대다. 지작사는 서부전선을 지키는 제3야전군과 동부전선을 담당하는 제1야전군을 통합해 만든 사령부다. 지작사는 화력여단·군수지원사령부 등 직할부대, 7개 지역 군단과 1개 기동군단 등으로 꾸려진다.

육군   K2  전차.사진=국방부이미지 확대보기
육군 K2 전차.사진=국방부

육군은 9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 지작사 대강당에서 정경두 국방부 장관 주관으로 창설식을 열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축하메시지를 통해 "전방 작전의 지휘체계가 일원화되고 유사시 우리 군 주도의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지상작전사령부는 ‘강하고 스마트한 국방’을 위한 군 개혁의 핵심이 돼야 한다”며 “작전지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적은 병력과 부대로 보다 강력한 작전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예화에 더욱 노력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8일 초대 지작사 사령관인 김운용 대장에게 부대기를 직접 전달했다.

지작사의 창설은 한반도의 전장이 작고 좁은데 1, 3군으로 나눌 필요가 적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또 병력자원 감소로 2020년까지 상비병력이 50만 명 수준으로 감축되면서 1·3군사령부 통합으로 부대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추진됐다. 지작사 창설은 김대중 정부 때인 1998년부터 꾸준하게 논의돼 30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국방부는 노무현 정부 때인 2005년 2010년까지 지작사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군내반발과 전술지휘통신체계(C4I),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무기 연기 등으로 창설 시기가 다섯 차례 뒤로 미뤄졌다. 장성과 병력 감축을 골자로 한 현 정부의 국방개혁이 본격 시동을 거는 계기가 됐다. 두 야전사가 합쳐지면서 4성 장군은 8명에서 7명으로 줄고 육군 내 장성 직위도 10여 개가 감축됐다. 지작사 창설로 한반도의 짧은 종심(전방∼후방 핵심 지역 간 거리)에서 더욱더 신속한 작전 지휘와 효율적 전투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육군은 전망했다

육군은 지작사 창설로 향토사단 중심의 후방작전사령부(제2작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미사일사령부의 부대구조를 갖게 됐다. 육군은 1973년부터 전방을 지키는 1·3군사령부와 후방지역을 방어하는 제2작전사령부의 3군 체제였다. 45년 만에 지작사와 2작전사령부의 2군 체제로 바뀐 것이다.

지작사의 전력은 막강하다. 육군 8개 군단 24개 사단을 지휘한다.사실상 대부분의 야전부대, 병력의 60% 이상을 지휘한다. 7개 지역군단과 모두 기계화사단으로 편성돼 유사시 북진의 선봉에 세운다는 기동군단이 지작사 예하로 들어갔다. 화력여단은 북한이 전방에 배치한 장사정포를 처리하는 임무를 맡기 위해 엄청난 화력을 보유할 예정이다.

지상군 최상위 사령부인 지작사 창설을 계기로 1·3야전군이 통합되면서 부대 병력 및 부대 수는 일부 감소했지만, 군단과 사단의 전력은 과학화·첨단화 측면에서 오히려 보강됐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지휘단계가 단축되고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정보·통신체계가 구축됨으로써 실시간 감시·판단·타격 능력이 강화돼 지휘체계의 효율성과 전투 수행 능력도 크게 향상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작사 예하에는 드론봇·C4I체계 등 첨단전력이 편제돼 다양한 작전 목적과 미래 전장 상황에 더욱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도 있다.

지작사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군 구조 개편의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지작사는 전작권 전환이 이뤄질 경우 한미연 합사령부(연합사)의 지상군을 지휘통제하는 연합 지상구성군사령부(지구사) 역할을 맡는다. 유사시 우리군의 지휘구조는 합참 또는 연합사→연합지구사→1, 3군→군단·사단으로 이어지는 4단계의 지휘구조가 연합사→지작사→군단·사단의 3단계로 줄어든다.

지작사는 육군의 군 구조 개편을 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군에 입대할 수 있는 성인 남성이 줄어드는 현실에 대비하기 위해 육군은 부대를 줄이는 대신 화력과 전력을 늘리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1개 군단이 지키는 지역은 현재 가로 30×세로 70㎞에서 60×120㎞로 3~4배 늘어난다. 대신 드론봇과 첨단 전투지휘체계, 차기 군단 무인정찰기(UAV), 대포병레이더, 소형 무장헬기 등으로 보강해 공백을 메운다는 게 육군의 계획이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