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연초부터 흔들 중국 제조업 PMI 쇼크 일파만파

공유
2

뉴욕증시 연초부터 흔들 중국 제조업 PMI 쇼크 일파만파

뉴욕증시 연초부터 흔들 중국 제조업 PMI 쇼크 일파만파 … 아시아증시 몰락,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환율 비상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 연초부터 흔들 중국 제조업 PMI 쇼크 일파만파 … 아시아증시 몰락,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환율 비상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 소장/ 경제학 박사] 새해들어 처음 열린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또다시 세계증시에 하락 공포가 엄습하고 있다.

아시아 증시 하락이 미국 뉴욕증시 다우지수 나스닥지수 하락으로 이어질 경우 연초부터 주가하락 도미노가 이어질 수있다.
2일 아시아증시에서는 한국거래소 코스피 코스닥 중국 증시 상하이 지수등이 일제히 떨어졌다.

중국증시의 댜표지수인 상하이지수는 전년말 보다 1.1% 떨어진 2465.29에 거래를 마감했다.

기술주들이 많이 몰려있는 중국 선전지수는 0.9% 하락했다.

상하이와 선전 증시의 우량주를 모은 CSI 300지수는 무려 1.4% 내렸다.

홍콩 증시에서 항셍지수는 중국증시보다 더 큰 폭인 2.8% 떨어졌다.

홍콩에서 거래되는 중국 기업들의 지수인 HS중국기업 지수는 2.9% 하락했다.
한국 코스피지수는 31.04포인트 비율로는 1.5% 내린 2,010.00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는 2000선 붕괴를 눈앞에 두고 있다.

코스닥은 6.28포인트, 비율로 0.9% 내린 669.37로 마감했다.

달러대비 원화 가치는 떨어져 원달러환율이 상승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이날 아시아증시 주가하락과 관련하여 중국 제조업 경기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 12월중 차이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7%로 나타났다.

PMI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경기침체를 의미한다.

차이신 PMI가 기준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17년 6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처음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2018년 12월 공식 제조업 PMI도 49.4에 그쳤다.

2016년 7월 이후 29개월 만에 처음으로 50 아래로 추락했다.

뉴욕증시에서는 미국 뉴욕증시 다우지수 나스닥 전망을 둘러싸고는 낙관론과 비관론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국제유가와 한국 증시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환율 등도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뉴욕증시는 2018년 12월31일 다우지수가 265.06포인트(1.15%) 상승한 2만3327.46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연간으로 1392포인트, 비율로는 5.6% 떨어졌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연간 34% 폭락한 이후로는 최악의 연간 성적표다.

다우지수가 연간 마이너스 성적을 낸 것은 2015년 이후로 3년 만이다.

대표적인 뉴욕증시 비관론으로는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이 손꼽힌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최근 한 방송인터뷰에서 뉴욕증시 강세장은 끝났다고 진단했다.

반면 투자은행인 JP모건체이스는 최근 뉴욕증시 투자자들에게 보낸 " 내년 1분기에는 뉴욕증시가 강한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미국 경기둔화로 연준이 적어도 내년 3월에는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그럴 경우 미국 뉴욕증시 다우지수 나스닥이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을 향해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하라고 요구하는 것도 내년도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행보에 상당한 영향을 줄것이라는 분석이다.

오펜하이머 에셋매니지먼트의 존 스톨츠퍼스 수석 투자전략가는 "최근 하락으로 내년 깜짝 상승을 위한 무대가 만들어지고 있다"며 "기존 밸류에이션 수준으로 복귀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S&P500 지수 나스닥지수 다우지수 장세를 좌우하는 변수로 미국 정부 셧다운 해소 여부와 미·중 무역전쟁및 무역협상 전개 상황 등을 주목하고있다.

특히 주목을 끄는 것은 미중 무역협상이다.

트럼프 시진핑 전화통화로 미중 무역전쟁이 타협국면으로 가는 것은 미국 뉴욕증시 다우지수 나스닥 지수 뿐 아니라 국제유가와 한국 증시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환율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화웨이 등 중국 주요 기업 제품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 발동여부도 변수이다.


김대호 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