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해운·조선업계 "스크러버 제조사·조선사 똘똘 뭉쳐 경쟁력 강화해야"

공유
4

해운·조선업계 "스크러버 제조사·조선사 똘똘 뭉쳐 경쟁력 강화해야"

선주협회, 선사, 금융, 조선업계간 친환경규제 공동대응방안 논의…‘13차 해운-금융포럼’ 개최
중소형선사 "해운업 지원 피부로 와 닿지 않아"…실질적 대책 호소

한국선주협회는 20일 오전 한국선주협회 10층 대회의실에서 선사, 금융, 조선업계간 친환경규제 공동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13차 해운-금융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선주협회  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선주협회는 20일 오전 한국선주협회 10층 대회의실에서 선사, 금융, 조선업계간 친환경규제 공동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13차 해운-금융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선주협회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다가오는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른 스크러버(황산화물 세정장치) 설치 여부에 대해 설비 장착만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조사와 조선사가 함께 손을 잡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앞서 IMO는 2020년부터 황산화물 배출량을 현행 3.5%에서 0.5%로 제한하는 규제를 시행하겠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해운업계는 환경규제에 대응해 탈황장치 스크러버 설치 및 저유황유 사용 등 대응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한국선주협회는 20일 오전 협회 10층 대회의실에서 선사, 금융, 조선업계간 친환경규제 공동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제13차 해운-금융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에는 선사, 금융권, 수리조선소 및 조선기자재업체에서 약 7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무 선주협회 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환경규제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유럽선사들이 아시아, 특히 한국 선사의 경쟁을 막기 위한 견제"라며 "이제는 견제 조치가 스크러버까지 규제하는 등 심각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포트폴리오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 부회장은 이어 "선주협회 차원에서 환경규제에 대한 연구는 물론 해운업계 전반적으로 매뉴얼을 마련하도록 연구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은 스크러버 기술현황과 2019 해운시황 전망, 해운산업 재건을 위한 한국해양진흥공사 역할 등 3가지 주제발표가 이어졌다.

먼저 첫 번째 주제 발표에 나선 해양기재자업체 파나시아는 스크러버 기술을 소개하고 스크러버 공급업체 및 적용사례를 설명했다. 이어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2019년 해운시황 전망을 발표했으며 마지막으로 해양진흥공사에서 공사 사업설명을 발표했다.
특히 이날 주제 발표 후 진행된 ‘2020년 황산화물 배출규제 공동 대응방안’ 간담회에서는 스크러버 설치 전망과 함께 수리조선소 및 기자재업체에서 조선소별 설치여력과 스크러버 생산능력 등을 놓고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조봉기 선주협회 상무는 "국내 스크러버를 설치한 4군데를 조사한 결과 연간 생산 대수가 1200대"이라며 각 사별로는 많게는 360대 적게는 240대 생산 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조 상무는 그러나 "현재 내년에 계약된 숫자는 300척 뿐으로 스크러버를 아직 900여 대 이상 더 설치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라고 밝혔다.

이에 선박 수리/강선건조를 주력으로 하는 동일조선의 황창남 상무는 "스크러버 정책 지원, 선주사 얘기는 계속 나오는데 조선사가 선수금환급보증(RG)을 발급해 선사를 지원하는 것을 피부로 느끼기에는 미흡하다"며 "특히 스크러버 설치는 단순 장착 지원이 아닌 업계간 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 예로 스크러버 를 설치하는데도 제품은 국내산을 쓰지만 수리건조 등은 대부분 중국에서 한다"면서 "파나시아가 메이커로서 경쟁력은 있지만 설치작업 등은 인건비 등을 이유로 한국이 중국보다 경쟁력이 떨어진다. 스크러버 정책지원도 좋지만 스크러버 메이커와 조선사들이 똘똘 뭉쳐 중국에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 해양수산개발원은 이날 내년도 해운시황 전망에 대해 물동량과 선대 모두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희성 해운빅데이터연구센터 센터장은 “올해 컨테이너 운임현황은 ‘상저하고’ 양상을 보였다”면서 “내년 전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이 올해에 비해 4.2% 늘어나고 컨테이너 선대 역시 3.5 % 증가할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윤 센터장은 이어 “내년엔 저유항유 사용에 따른 선사와 화주 간 갈등,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초대형 선박 인도에 따른 선형 확대 그리고 환경 규제 등 주요 이슈가 있어 국적선사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