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미래 불안에 소득 급증해도 소비는 기울어”

공유
0

한경연 “미래 불안에 소득 급증해도 소비는 기울어”

- 소득 67.2%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50.0% 증가에 그쳐
- 저소득층, 소득증가 대비 소비증가 속도 더뎌

2003∼2016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증가률. 표=한경연
2003∼2016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 증가률. 표=한경연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한국인들은 소득이 늘어나도 그만큼 소비를 늘이고 있지 않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4년 간 가계동향분석 자료를 토대로, 우리 가계의 소득 증가 대비 소비비중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이는 특히 저소득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특히 같은 기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보건, 주거 관련 소비가 빠르게 증가한 점을 들어, 소비증가 둔화는 고령화 및 주거비 상승 등에 따른 불안에 의한 것으로 추정했다.

■소득 67.2%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50.0% 증가에 그쳐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4년간, 가구의 평균 소득은 263만원에서 440만원으로 67.2%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공과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218만원에서 359만원으로 64.3% 증가한 반면, 소비지출은 170만원에서 255만원으로 50.0% 증가에 그쳤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의 증가가 더디게 나타난 것은 특히 최근들어 더 두드러졌다. 2011년 이후 처분가능소득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지속적으로 소비지출의 증가율을 상회했다.

■저소득층, 소득 증가 대비 소비 증가속도가 더뎌


소득분위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의 증가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03년에서 2016년까지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이 58.8%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38.1% 증가한 반면, 5분위는 처분가능소득 64.5% 증가에 소비지출은 52.7%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의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전체적으로 2003년 77.9%에서 2016년 71.1%로 줄어들었다.

소득이 증가해도 소비 성향이 바뀌지 않는다면 증가한 소득은 소비증가로 연결된다. 그런데 사람들의 소비 성향이 변화하게 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소비는 줄거나 늘 수 있다.
소비 성향이 변화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1분위 소비 지출은 2003년에 92만원에서 2016년에는 146만원으로 약 54만원 증가했어야 한다. 그러나 소비 성향의 변화에 따라 실제 소비지출은 127만원에 그쳤다. 소비성향의 변화로 인해 19만원의 소비가 없어진 셈이며, 소득 증가에 따른 54만원 대비 35.2%가 잠식된 것이다.

반면 5분위의 경우, 소비 성향이 변하지 않았을 경우, 소득증가에 따라 증가했을 것으로 보이는 소비는 168만원이었다.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소비 잠식은 31만원 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소비성향의 변화가 소득이 증가한 만큼 소비가 늘지 않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저소득층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소비 중 보건, 주거/수도/광열 부문 비중이 빠르게 증가

2003년부터 2016년 기간 증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한 것은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보건의료, 주거·수도·광열 부문이었다. 그에 따라 해당 부문이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다. 반면 통신비, 식료품, 의류·신발 등은 소비가 더디게 증가함에 따라 구성비가 줄어들었다.

소득분위별로는 소득증가에 따른 소비지출의 변화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저소득층인 1, 2분위의 경우 주거/수도/광열, 보건의료 등에서 소비가 빠르게 증가했다. 3분위의 경우 순위만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반면 4분위 이상에서는 교육비가 빠르게 증가하였고, 자동차구입 등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분위에서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수요의 증가는 렌탈서비스 및 가사도우미 이용 증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증가 폭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소비 성향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의 소비를 진작할 수 있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