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관방장관 말 한마디에 日통신 3사 주식 일제히 하락…요금인하 압력 더 거세져

공유
0

관방장관 말 한마디에 日통신 3사 주식 일제히 하락…요금인하 압력 더 거세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휴대전화 요금 40% 정도 낮출 여지 있다" 발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휴대전화 요금은 40% 정도 낮출 여지가 있다고 발언한 것을 계기로 일본 통신 3사의 주식이 일제히 매도됐다. 자료=트위터이미지 확대보기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휴대전화 요금은 40% 정도 낮출 여지가 있다"고 발언한 것을 계기로 일본 통신 3사의 주식이 일제히 매도됐다. 자료=트위터
[글로벌이코노믹 김길수 기자]

21일(현지 시간) 도쿄 주식시장에서 일본 휴대전화 대기업 3개사의 주식이 일제히 매도되면서 하락세를 기록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휴대전화 요금은 40% 정도 낮출 여지가 있다"고 발언한 것이 전해지면서 수익 악화 우려가 대두됐기 때문이다.
총무성과 공정거래위원회도 현행 상관습 및 요금제도를 문제 삼으며 휴대전화 업체에 요금을 인하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통신 3사 주가 하락은 요시히데 관방장관의 발언에서 비롯됐다. 관방장관은 이날 삿포로 강연에서 "주요 휴대전화 업체는 막대한 이익을 올리고 있다"며 "경쟁이 작동하지 않는다고 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휴대전화 요금은 지금보다 40% 정도 낮출 여지가 있다"며 통신 요금 개혁에 의욕을 나타냈다. 그로 인해 21일 도쿄 증시에서 NTT도코모 4.0%, KDDI 5.22%, 소프트뱅크가 1.63% 하락한 채 마감했다.

2017~2018 회계연도(2017년 4월~2018년 3월) 전체 영업 이익을 보면 총무성의 이 같은 행보에도 일리가 있다. 소프트뱅크는 전년 대비 27.1% 증가한 1조3038억엔(약 13조2273억원)의 영업이익을, 도코모는 3.0% 증가한 9732억엔(약 9조8733억원), KDDI는 5.5% 증가한 9627억엔(약 9조7668억원)의 이익으로 3사 모두 일본내 10위권 이익 기업에 포함됐다. 게다가 도코모의 모회사 NTT를 포함하면 상위 10개사 중 4개사가 통신 회사다.

총리 관저에서 휴대전화 요금 인하를 주문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첫 사례는 2015년 9월로, 당시 아베 신조 총리는 경제재정자문회의에서 통신료 인하 방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 당시에도 이를 계기로 통신 3사의 주식은 매도물량이 크게 나왔다.

총무성은 휴대전화 시장의 개혁을 가속화할 심산이다. 이미 통신료 상승의 원인으로 꼽히는 "유심 및 단말기의 세트 판매를 분리"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라쿠텐의 휴대폰 참여를 인정함으로써 통신 요금 인하로 이어질 경쟁 환경을 정비했다. 이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도 "유심과 단말기 세트 판매는 그 정도에 따라 독점금지법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고 지원 사격했다.

총무성의 가계 조사에 따르면 가구 소비에서 차지하는 통신료 비율은 2010년 3.66%에 불과했지만 2016년 4%를 돌파하고 2017년에는 4.18%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고정 유선전화는 감소하는데 휴대전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17년 일본의 휴대전화 통화료는 연간 10만250엔(약 102만원)으로 처음으로 10만원 대를 돌파했다. 결국 총무성 내에서는 "통신 요금이 다른 소비를 압박하고 있다"며 현재의 통신 요금 수준에 불만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에 대해 도코모 대변인은 "지금까지 다양한 고객 환원 정책을 펴왔으며 앞으로도 서비스 향상을 목표로 고객의 요구를 감안한 요금 서비스의 재검토 및 확충을 순차적으로 검토·발표하겠다"고 밝혔다. KDDI도 대변인의 성명에서 "고객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서비스 향상에 노력하겠다"고 발표했다. 소프트뱅크 또한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하도록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요시히데 관방장관 발언 이후 통신 3사 중 소프트뱅크의 피해가 가장 적었다. 소프트뱅크는 통신 회사라기보다는 투자 회사의 색채를 강화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연내 통신 자회사의 상장(IPO)을 준비 중인 소프트뱅크로서는 요금 인하로 주식이 하락할 경우 IPO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어 방어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김길수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