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영구채 발행잔액 12조원, 올해 대규모 조기상환 예고

공유
0

영구채 발행잔액 12조원, 올해 대규모 조기상환 예고

올해 영구채 조기상환 3조6000억원, "4곳 발행사 재무구조 취약, 우려"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손현지 기자]
국내 기업이 발행한 영구채(신종자본증권) 발행물량이 늘어나고 있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간 44개 기업은 영구채 12조원 어치(52건)를 발행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도 대규모 영구채 조기상환이 예정돼 유동성 위험 등이 확대됐다. 금융당국은 일부 기업은 상환후 재무구조가 더욱 악화될 수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금융감독원은 29일 올해 조기상환 규모는 지난해 1조 3000억원보다 늘어난 3조 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발행액의 30.2%를 차지하는 수치다. 급증 원인은 2013년에 대규모로 발행돼 조기상환 시점 5년이 된 것에 기인한다.

영구채는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회사채로, 통상 만기가 30년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발행사가 발행 5년 후 조기상환권(콜옵션)을 가지며 상환권을 미행사하는 경우 가산금리가 부과된다. 국내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가 2012년 10월 처음 발행했다.

영구채 발행액은 2012년 1조2543억원에서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된 2013년에 2조4600억원으로 급증했다. 그 뒤 2014년 1조3329억원, 2015년 2조8448억원, 2016년 1조6290억 원, 지난해 2조4954억원 등을 기록했다.

기업들이 대부분 영구채 조기상환 자금을 회사채를 발행해 조달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발행사의 경우 조기상환을 하게 되면 재무구조가 급격히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금감원은 발행사 4곳에 대해 영구채 발행 전에도 부채 비율 300%를 초과했다고 경고했다. 영구채 조기 상환후 해당 기업들의 부채 비율이 평균 3배 이상 급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한 곳의 부채비율은 7092%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영구채는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인정되니 발행 당시에는 재무구조가 양호해보일 수 있다"며 "아울러 조기상환시 필요한 자금을 대부분 회사채를 통해 조달해 발행후 부채 비율이 훨씬 높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투자상품에 투자할 때 세부 발행조건과 상환계획 등 공시내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국내 영구채 발행액이 9조7541억원, 해외는 2조2623억원이라고 밝혔다. 국내의 경우 모두 사모방식으로 발행됐다.


손현지 기자 hyunji@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