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상선 실권주, KB증권·한국투자증권 “굴러온 복 차버렸다?”

공유
11

현대상선 실권주, KB증권·한국투자증권 “굴러온 복 차버렸다?”

남북경협 테마타고 주가 봄바람
실권주 모두 청산, 리스크관리 집중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최성해 기자]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던 현대상선 실권주를 보는 눈이 달라졌다. 남북 정상회담의 훈풍으로 남북 경협주 대열에 합류하며 주가도 크게 뛰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현대상선 실권주를 인수한 증권사는 크게 재미를 못봤다. 조금씩 내다팔며 보유 물량을 모두 청산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실권주를 성급하게 처리해 현대상선의 급등열차에 올라타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 KB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주관사 한때 실권주 38.8%, 약 4660만주 인수


씁쓸한 입맛을 다지게 됐다. 현대증권 실권주를 인수한 주관사인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이 그 대상이다.

현대상선은 지난해 12월 6∼7일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규모는 1억2000만주(약6000억원). 메가톤급 유증으로 화제를 보았다. 발행가격은 5000원이다.

당시 주관사는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이 맡았다. 조선업 불황과 재무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겹치며 흥행은 참패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과 61.2%의 저조한 청약률을 기록했다. 구주주들마저 외면하고 그 뒤 11∼12일 실권주 일반공모청약의 결과는 더 참담했다. 4707만6475주 모집에 청약물량은 46만8400주로 약 1% 불과했다.

하지만 실권주 38.8%, 약 4660만주는 시장에서 무난히 소화됐다. 남은 실권 물량에 대해 총액잔액 인수 계약을 맺은 KB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각 2328만917주, 2332만7157주씩 인수했기 때문이다.

인수금액은 각 1164억원, 1166억원 규모로 유상증자 신주상장 후 총보유 지분율은 각각 7.43%, 7.55%에 달한다.

문제는 이후 주관사의 모럴헤저드 논란이 제기되는 등 실권주 처분 과정이 순탄치 않았다는 사실이다

발단은 시장 안정을 통해 주관사가 장기 보유를 검토하고 있다'는 언론보도다. 그 내용과 달리 주관사들이 지난 1월 2일 장 마감 후 장기투자기관(롱펀드)을 대상으로 현대상선 보유주식의 약 65%를 블록딜했다. 당시 현대상선 주가가 유상증자 발행가격 아래서 머문 상황이라 주가 하락으로 성난 투자자들의 투자심리에 기름을 부었다.

실권주 물량의 경우 장기 성향의 롱펀드뿐만 아니라 단기 성향의 롱숏펀드 등 외국계 여러 헤지펀드들로부터 인수제안을 받았으나 주식 가격 안정을 최대한 고려한 결과 장기 투자펀드를 선택했다고 해명하는 등 투자자들의 성난 투심을 진정시키느라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

■남북 정상회담 등 남북경협 활성화 기대만발...현대상선 주가 한때 6000원 돌파


하지만 최근 이 같은 논란은 말끔하게 사라진 상황이다. 무엇보다 현대상선의 주가가 껑충 뛰었기 때문이다. 주가 상승 모멘텀은 남북 정상회담 및 판문점 선언 등 남북경협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다. 현대상선은 남북경협주로 묶이며 지난달 26일 5280원으로 마감한 뒤 지난 2일 6100원까지 올랐다.

최근 차익매물로 5900원 선에 맴돌고 있으나 6000원 안착이 유력하다. 유상증자 발행가격이 5000원인 것을 감안하면 실권주를 홀딩했다면 약 20%에 가까운 수익을 거두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현대상선 실권주 인수 주관사는 수혜를 입었을까? 결론은 NO에 가깝다.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은 실권주 물량을 모두 청산해 현재 보유 물량은 없다.

KB증권 관계자는 “일단 모두 매도한 것은 맞다. 하지만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디테일한 내용을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현대상선 실권주는 모두 처분해 햔재 보유하고 있는 것은 없다”며 “애초 장기투자를 밝힌 적 없으며 규정에 따라 상황을 보고 시의적절할 때 청산했다”고 말했다.

이들 주관사의 현대상선 실권주 성적표는 어떨까? 적어도 1월 이후 조금씩 내다팔며 남북경협주 테마의 훈풍을 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KB증권, 한국투자증권 측 모두 “손해 혹은 이익여부는 말할 수 없다”며 “공시의무가 없는데다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반면 현대상선은 불과 반 년도 안돼 유상증자 당시와 상황이 달라졌다. 정부가 지난 4월 5일 해운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해운재건 5개년 계획’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2022년까지 해운산업 매출액 51조원 달성과 지배선대 1억40만DWT, 원양컨테이너선복 113만TEU 확보 목표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제정 및 개정과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등의 후속절차가 진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현대상선이 최대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송재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장기 초대형 컨테이너선 발주 계획은 실질적으로 운항 능력이 있는 현대상선에 유리하다”며 “현재 현대상선은 20척의 컨테이너선 발주 계획이 있고 2020년 해운업계 얼라이언스 재편 과정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기업사정을 잘아는 주관사에도 불구하고 조급한 청산으로 굴러온 복을 차버렸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상선 실권주에 대해 외국계 여러 헤지펀드들이 인수제안을 했는데, 이는 앞으로의 기업가치를 낙관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예상 밖으로 과도한 실권주가 발생하다보니 기업가치와 상관없이 서둘러 팔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