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최종구 금융위원장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위한 성장지원펀드 출범…올해 2조원 조성”

공유
0

최종구 금융위원장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위한 성장지원펀드 출범…올해 2조원 조성”

혁신기업 생태계 만들기 위한 3종세트 중 두 번째…3년간 총 8조원 규모

최종구 금융위원장이미지 확대보기
최종구 금융위원장
[글로벌이코노믹 유병철 기자] 금융당국이 혁신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3년간 8조원 규모의 성장지원펀드를 조성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9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열린 성장지원펀드 출범식에서 “혁신창업 생태계에 민간자금 중심의 성장자금이 공급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성장지원펀드가 오늘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는 금융위원회가 생산적 금융의 관점에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 중인 금융분야 혁신창업 지원 3종 세트의 일환이다.

지난 8일 금융위는 창업가가 실패 경험을 두려움의 대상이 아닌 성공을 위한 자산으로 삼아 재도전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연대보증 폐지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최 위원장은 “하나의 아이디어가 창업으로 연결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 데카콘(10조원 이상)으로 성장하기까지 기업은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만큼의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어야 한다”며 “우버, 에어비앤비 같은 글로벌 혁신기업은 벤처생태계로부터 공급받은 자금을 바탕으로 중단없는 혁신을 이어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반해 국내 벤처투자는 양적으로 확대돼 왔으나 성장단계마다 자금이 유연하게 공급되고 선순환 체계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는 측면이 있다”며 “기업의 연속적 성장에 필요한 자금이 적시에 공급되고, 투자된 자금이 회수, 재투자되는 자금순환 과정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그간 금융위가 직접 방문했던 창업현장에서 벤처생태계와 관련한 다양한 목소리를 들었다고 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벤처생태계에 창업자금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다. 반면 데스밸리(Death Valley)를 극복한 이후 추가 도약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를 위한 대규모 성장자금은 부족한 측면이 있다.
실제로 우아한 형제들(배달의 민족),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미미박스 등 국내 유니콘 후보기업은 중국이나 미국 등 큰 규모의 성장자금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최 위원장은 “성장지원펀드는 성장과 회수에 중점을 둔 설립 취지에 맞게 성장·회수 단계에 맞춰 충분한 자금을 공급하고 민간자금 유입을 확대하며 역량있는 운용사 중심으로 운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금융위는 먼저 올해 2조원을 조성, 스타트업이 중소,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때 필요한 설비투자나 외부기술 도입, 인수금융, 사업재편 등 다양한 성장전략에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투자자금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올해 운영경험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자금 유입 확대를 꾀한다. 이를 통해 내년과 2020년에 각 3조원 규모로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펀드 운영의 자율성을 제고하고 성과 중심의 운용을 유도하기로 했다. 민간자금의 벤처투자 유입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운용사가 민간 출자자를 먼저 확보하고 정책자금은 부족한 자금을 보완하는 방식의 민간 주도 출자사업을 도입한다.

기존에 출자기관이 결정했던 의무투자 비율, 투자기구, 보수체계, 펀드 운용기간 등 주요 출자조건을 운용사가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성장지원펀드 운영 전반에 운용사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운용사 선정 기준도 개선한다. 업력이나 운용 규모보다 실질적 투자전략이나 운용 인력 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특히 투자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 투자전략 실현을 위한 펀드출자 구성, 투자 전문성을 활용할 수 있는 운용 인력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조속한 시일에 성장지원펀드가 혁신창업 생태계의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잡아 열정과 끈기를 가진 창업가들의 꿈이 이 펀드를 통해 성취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덧붙였다.

이 성장지원펀드는 금융분야 혁신창업 지원 3종 세트 중 두 번째다. 금융위는 앞으로 담보자산이 부족한 혁신기업이 원활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동산금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유병철 기자 ybsteel@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