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란 시위 위험수위 시위대 20여명 사망…로이터 긴급타전 이슬람 신권정치 중대 기로

공유
0

이란 시위 위험수위 시위대 20여명 사망…로이터 긴급타전 이슬람 신권정치 중대 기로

이란에서 이슬람 신권통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처음에는 생활고를 한탄하는 수준이었으나 점점 정권타도 운동으로 비화하고 있다. 사진은 최고 지도자 하메이니 옹의 모습 이미지 확대보기
이란에서 이슬람 신권통치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처음에는 생활고를 한탄하는 수준이었으나 점점 정권타도 운동으로 비화하고 있다. 사진은 최고 지도자 하메이니 옹의 모습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 기자] 이란 시위가 예사롭지 않다.

시민들의 요구가 초기의 단순한 생활고 호소차원을 넘어 국가 최고지도자인 하에이나와 대통령 로하니에의 목숨까지 요구하는 수준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가는 정부 전복 또는 무정부상태에서의 극한 투쟁이 우려되기도 한다.
로이터통신은 2일 현지발 기사에서 이란 시민들이 "하메네이에 죽음을" 이라는 구호와 "로하니에 죽음을"이라는 구호를 들고 나오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최고지도자들을 직접 겨냥한 시위는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처음이다.

이란은 1979년 혁명이후 이슬람 신권 통치를 해왔다. 그 신권통치가 누적된 실정과 부정부패로 국민들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신권정치의 정통성이 상실된 상태라는 것이 현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란 시위는 2017년 12월 중순부터 본격화됐다. 특히 연말에 시위대가 잇달아 사망하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현재까지 사망한 사람은 20명을 훌쩍 넘는다.

이란 국민들의 가장 큰 불만은 국민 생계의 도탄이다. 시위대들은 신정의 지도부가 그동안 대외적인 모험주의에 치중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을 곤경에 빠트렸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핵무기 개발을 둘러싸고 미국과 대결하는 과정에서 국가경제가 도탄에 빠졌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이란의 성직자와 혁명수비대 등 국정을 장악한 보수파들이 한정된 국가 자산을 경제 개선 대신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시리아 등 대외 혁명 활동에 투입함으로써 국민 생활을 핍박에 빠트렸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로하니 정부는 서방과의 핵 합의를 통해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로부터 수백억 달러의 각종 동결 자산을 회수했으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를 비롯한 고위성직자들과 혁명수비대가 이를 대부분 생산 활동이 아니라 대외 모험주의 활동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이란에서는 이슬람 혁명이후 지도부가 국내 시위가 발생할 때마다 그 정통성과 권위에 타격을 받아왔다. 지난 2009년에도 이란에서는 녹색운동 주도의 반정부 시위가 있었다. 오랫동안 혼란이 이어지다가 2013년 온건파 하산 로하니 대통령이 등장하면서 갈등이 일단 봉합됐다.
. 국민의 기대를 모아온 로하니 대통령 정부는 그러나 강경파에 밀려 개혁에 실패했다. 그 바람에 이슬람 신권정치가 통째로 존립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내재해온 이란 주민들의 변화 욕구와 이슬람 지도부에 대한 불만이 끝내 분출한 셈이다.

로하니 정부는 국민에 약속한 정치, 경제 개혁 공약을 실천하는 데 실패했고 그의 중도통치 실험도 붕괴했다. 기대를 모았던 로하니 정부마저 실패함으로써 이제는 이슬람 정권이 국민을 설득할 정치적 명분도, 요인도 상실한 최대 난국에 처해있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슬람 신정 공화국은 더 이상 시대에 맞지 않은 역사적 유물로 전락한 셈이다.

한편 로하니 대통령은 이날 의회 긴급 회동해 사태 수습을 논의했다. 또 시위 중 발생한 폭력의 배후로 미국과 이스라엘의 노골적인 개입을 지목했다.

중도·개혁 정부를 이끄는 로하니 대통령은 시위대에서 나오는 민생고를 해결하라는 강력한 요구를 역이용해 경제권을 쥔 보수적 군부와 종교계 등 기득권을 압박하고 그가 천명한 '반부패 드라이브'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안개국면이다.


김대호 기자 yoonsk82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