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韓美 경제계 "한미FTA 개정 서로 '윈윈'하는 협정 돼야"

공유
0

韓美 경제계 "한미FTA 개정 서로 '윈윈'하는 협정 돼야"

한국 대표단, 미국 측에 "반덤핑, 세이프가드 조치 해제 요청"

전경련은 미국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1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29차 한미재계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전경련이미지 확대보기
전경련은 미국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11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29차 한미재계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전경련
[글로벌이코노믹 길소연 기자] 지난 4일 한미 FTA 개정 협상이 시작된 가운데 경제·통상 전문가들이 미국을 방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이 양국 경제의 상호 호혜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국 상공회의소와 함께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미국 상의회관에서 '제29차 한미재계회의 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미재계회의는 전경련과 미국상의가 양국의 경제협력과 유대 강화를 목적으로 1988년 설립한 민간경제협의체다. 양국 재계 간 최상위 협력채널로 한미FTA 체결, 비자 면제 프로그램 가입 등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전경련은 한미재계회의에 앞서 주요 미국 투자기업과 전 통상관료 등 민관을 망라해 한국대표단을 구성했다.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 등 통상 분야 전문가를 비롯해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한국 위원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류진 풍산 회장, 김희용 동양물산기업 회장,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 하영구 은행연합회 회장,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 이병건 종근당 부회장이 참가했으며, 주요 기업에서는 롯데케미칼,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효성, LG전자 대표 및 관계자가 함께 했다.

미국 측은 마이런 브릴리언트 미국 상의 수석부회장, 에드 로이스 미 하원 외교위원장(캘리포니아주, 공화당), 마크 리퍼트 전 주한 미국대사(보잉 국제담당 부사장), 미셸 플러노이 전 국방부 차관, 제임스 김 암참 회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한국 위원장으로 나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북한의 잇따른 핵 도발로 한반도 안보상황이 불안정한 지금 새로운 한미FTA가 단순 경제협정이 아닌 63년 역사의 안보동맹을 굳건히 다지는 모멘텀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미재계회의가 2000년 처음 한미 FTA를 제안하여 양국 경제동맹의 기틀을 마련한 것처럼, 향후 한미FTA 개정협상에서도 상호 호혜적 무역․투자 증진 및 일자리 창출의 포지티브 섬 협상결과가 도출되도록 한미 재계가 함께 제반여건을 함께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국 경제계는 합동회의에서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강한 우려를 표하고, 60년 넘게 이어져 온 한미동맹에 대한 지지 표명과 한미동맹이 동북아 및 세계 평화에 무한한 공헌을 해 온 것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더불어 한미동맹이 1954년 발효한 상호방위조약, 2012년 발효한 한미FTA라는 두 가지 축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데 공감했다.

특히, 2000년 한미재계회의가 첫 단초를 제공한 한미FTA가 양국의 무역·투자 확대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의 기반이 된 만큼, 동 협정 파기시 양국 기업의 수출경쟁력 저하와 수십만 개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또한 미국 무역수지 적자 원인이 한미FTA가 아닌 구조적 문제에 기인하며, 한미FTA가 없었다면, 양국 무역불균형이 더 심화될 것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

양국 경제계는 한미FTA 개정이 양국 모두 윈윈하는 상호 호혜적 협정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동 선언문을 채택했다.

대표단을 주도한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한국 기업은 지난 2012년 발효된 한미FTA를 통해 미국 내 1만1000여개의 일자리를 제공했다"며 "1968년 이후 한국의 신고기준 누적 대미 직접투자 금액은 올해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한미FTA 개정협상과 미국 철강·가전 업체의 한국 업체를 상대로 한 반덤핑, 세이프가드 청원 등 통상공세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한국 대표단은 미국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하는 주된 원인이 한미 FTA가 아닌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반덤핑 및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와 같은 수입 규제 조치를 지적, 보호무역 기조가 확대되는 일을 방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