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일자리 정책] 정유·화학사, '비정규직 부담금' 엄포에도 ‘안심’하는 이유

공유
4

[정부 일자리 정책] 정유·화학사, '비정규직 부담금' 엄포에도 ‘안심’하는 이유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대기업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이로 인한 정유·화학 업계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이미지 확대보기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대기업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발표한 가운데 이로 인한 정유·화학 업계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정유·화학 업계의 일자리 비중은 5% 내외로 매우 낮다. 이미지 확대보기
정유·화학 업계의 일자리 비중은 5% 내외로 매우 낮다.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 비중이 높은 기업에 부담금을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으나 정작 정유·화학 업계의 표정은 밝다. 정유·화학 업계의 비정규직 비율은 5% 내외로 다른 업종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기관인 일자리위원회는 지난 1일 ‘일자리 100일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비정규직 남용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비정규직을 과다하게 고용하는 대기업에 고용부담금을 물리는 정책이 거론됐다.

정부의 비정규직 전환 정책이 정유·화학 업계에 미치는 파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화학업계의 맏형인 LG화학은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근로자 1만6834명 가운데 비정규직이 149명에 불과했다. 이는 화학3사 중에서도 가장 낮다. 롯데케미칼이 3.96%(117명), 한화케미칼이 4.08%(1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업계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오일뱅크는 비정규직 직원이 29명(1.64%)으로 정유4사 중 가장 적었다. SK이노베이션은 전체 직원 가운데 2.86%(43명)만 비정규직이었다. GS칼텍스와 에쓰오일은 각각 3.95%(114명), 5.48%(175명)였다.

업계 관계자는 “육아휴직 등 휴직계를 낸 사람들을 대신해 짧은 기간에 일할 사람들만 비정규직으로 잠깐 뽑는다”며 “비정규직 비율 자체가 높지 않아 정부 정책의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정유·화학 업계의 비정규직 비중이 적은 배경에는 ‘장치산업’이라는 특성이 있다.

한국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정유화학은 기계가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산업이어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비정규직 비율도 낮다”고 설명했다.

이번 정책 발표에 앞서 한 차례 비정규직을 줄이려는 노력을 시도했던 영향도 컸다. 현대오일뱅크는 지난 2013년 계약직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시켰다. 지난 2013년 6월 81명이던 비정규직원은 12월 43명까지 줄었다. 한화케미칼은 같은해 35명의 계약직 사무직 직원이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현재 정규직 전환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한 회사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업계는 향후 정부 정책에 발맞춰 정규직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이달 1일 파견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바 있다”며 “적극적으로 정부 정책을 검토할 예정”이라 말했다.

현대오일뱅크 관계자 역시 “이전부터 비정규직을 전환하려는 시도를 지속해 온 만큼 정부 정책에 동참하도록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