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신생아 소두증' 자카바이러스, 인체 세포 침투 시 구조 첫 규명

공유
0

'신생아 소두증' 자카바이러스, 인체 세포 침투 시 구조 첫 규명

[글로벌이코노믹 이세정 기자] 신생아 소두증(뇌 일부가 자라지 않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카 바이러스 연구에 탄력이 붙고 있다.

미국 퍼듀대와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공동연구팀은 지카바이러스가 사람의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표면 단백질 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사이언스' 4월 1일자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군도에서 지카바이러스가 유행할 당시 환자로부터 구한 시료를 얼린 뒤 초저온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지카바이러스 입자의 3D 이미지를 얻었다.

지카바이러스의 구조는 뎅기열바이러스,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등 플라비바이러스 속의 대체로 유사했다.

하지만 바이러스가 표면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종마다 차이가 났다.

이 표면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사슬의 154번째 아미노산(아스파라긴) 근처에 '당'이 붙는데, 이 아미노산 앞뒤에 있는 아미노산 10개 정도가 유독 차이가 나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마이클 로스만 퍼듀대 교수는 "만일 지카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을 막을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한다면 지카바이러스가 사람 세포에 침투하지 못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표면 단백질은 항바이러스제의 좋은 타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30일자 '셀 스템셀' 온라인판에는 지카바이러스가 들어가는 '문'의 정체를 밝힌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태아의 뇌가 발달하는 동안 나오는 여러 종류의 세포를 분석한 결과 이들 세포가 표면에 내는 단백질 'AXL'이 지카바이러스를 비롯한 플라비바이러스 속의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수용체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세정 기자 sjl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