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레프코위츠·코빌카, G단백질연결수용체 내부작용 발견 공로로 노벨화학상 공동수상

공유
0

미국 레프코위츠·코빌카, G단백질연결수용체 내부작용 발견 공로로 노벨화학상 공동수상

[글로벌이코노믹=이순용 기자] 올해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는 미국의 로버트 레프코위츠(69)와 브라이언 코빌카(57)로 결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201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미 듀크 대학 메디컬센터의 레프코위츠 교수와 스탠포드 대학 약대의 코빌카 교수를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노벨상위원회는 이들 두 명이 인체의 세포가 주변 환경을 인지하도록 해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신호에 대응하도록 해주는 단백질에 대한 신기원을 열어준 연구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레프코위츠와 코빌카는 GPCRs(G-protein-coupled receptors, G단백질연결수용체)이라고 불리는 이 단백질의 내부 작용을 발견한 공로가 인정됐다고 덧붙였다.

모든 약물 치료의 약 절반 정도가 이 GPCRs통해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GPCRs의 작용을 이해하게 되면 보다 좋은 약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위원회는 레프코위츠와 코빌카의 연구가 GPCRs가 어떻게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지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됐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인체의 세포가 주변 환경을 어떻게 인지하는가라는 문제는 오랜 세월 동안 미스테리로 남아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인체의 세포에 강력한 효과를 불러오는 호르몬을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만이 과학자들 사이에 존재해 왔지만 이러한 수용체가 어떻게 구성돼 있고 어떻게 기능을 발하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고 위원회는 덧붙였다.

그러나 1968년 레프코위츠가 요드 동위원소를 이용해 아드레날린 호르몬을 받아들이는 β-아드레너직 수용체를 발견하는데 성공하고 이를 추출하는데까지 성공했다.

레프코위츠는 1980년대 코빌카를 영입해 인간 게놈에서 β-아드레너직 수용체의 코드를 명령하는 유전자를 추출하는데 성공했고 이를 통해 빛을 느끼고 냄새를 맡으며 아드레날린이나 히스파민, 도파민, 세로토닌과 같은 호르몬들을 받아들이는 약 1000개에 달하는 수용체들을 유전 코드를 갖는 GPCRs의 존재와 내부 작용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