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부실채권의 덫'...서민금융 위협

공유
0

'부실채권의 덫'...서민금융 위협


▲ 최근 신규 부실채권 규모가 늘면서 은행들이 정리를 위해 부실채권을 시장에 내놓으면서 채권 추심의 압박으로 빚 상환 부담을 안게 됐다.금융당국, 부실채권 대규모 정리 요구...금융권 대량 부실채권 시장 쏟아내
상환추심 압박에 가계·기업 상환 부담 가중
[글로벌이코노믹=김재현기자]직장인 A(46)씨는 2년 전 서울 근교에 위치한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2억을 대출받았다. 하지만 최근 경기침체로 회사 사정이 어렵게 되자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해 경매로 넘어갔다. 채권 1순위였던 은행에서 1억5000만원을 회수해 가고 난 후 나머지 5000만원도 상환해야 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아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최근 금융권에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실채권을 정리해야 하는 부담감 때문에 서민들의 빚 상환 부담 등 생계안정에 비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까지 부실채권 규모는 다소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갈수록 신규부실 발생 규모가 크게 늘면서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31일 금융감독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부실채권 비율(고정이하여신비율)과 규모는 각각 1.49%, 20조8000억원으로 전분기말(1.51%, 20조9000억원)에 비해 0.02%p, 1000억원 감소했다.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적극적인 정리하고 나섰기 때문에 부실채권 비율이 하락세로 전환됐지만 문제는 늘어나는 신규부실 발생 규모다.

올해 2분기 중 신규부실 규모는 6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5조5000억원에 비해 1조5000억원이 증가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5조4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계여신과 신용카드 신규부실은 각각 1조3000억원, 2000억원 수준이다.

이런 추세로 이어진다면 하반기 신규 부실 채권 규모는 15~2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은행들이 보유한 부실채권 가운데 시장에 매물로 나오게 되는 부실채권은 약 4~6조원 정도로 신규부실보다 적은 규모다.

금융감독당국이 연말까지 부실채권 비율을 평균 1.3%로 맞추라고 요구하고 나서면서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6월말 현재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기업여신의 경우 1.84%, 중소기업 2.31%, 부동산 PF 11.22% 등이어서 은행들은 좀 더 많은 부실채권을 시장에 내다팔아야 한다.

올해 2분기 국내은행이 시장에 내놓은 부실채권은 7조원이다. 전분기(3조3000억원)에 비해 3조7000억원이 증가했다.

현재 각 은행들이 보유한 반기별 평균 부실채권 규모는 3000~4000억원 수준으로 국민은행은 상반기 3000억원 규모를 매각했으며 하반기에도 같은 규모 이상의 부실채권을 시장에 내놓을 전망이다.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처분하기 위해 매각이나 담보처분등을 활용하게 되는데 보통 자산관리공사나 추심업체인 신용정보회사로 넘어가게 된다.

부실채권을 넘겨받은 이들은 최대한의 회수를 위해 기업과 가계에 대출 상환 압력을 넣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 가뜩이나 경기 침체로 소득보다 부채가 늘어나는 추세에서 상환 능력도 줄어든 서민과 기업으로선 부실채권 정리에 따른 이중고를 겪어야 하는 처지로 전락될 수 밖에 없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최근 서민금융지원책이 각 은행권마다 발표하면서 저소득층의 대출 기회가 많아진 만큼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도 높아질 수 밖에 없다"며 "은행들이 부실채권을 우회경로 등을 통해 시장에 더 많이 내놓으면 채권추심의 압박도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하반기때 가봐야 하겠지만 신규 부실채권 규모가 늘어난다는 것은 은행으로서도 자산 건전성에 문제가 된다"면서 "현재 서민금융지원책까지 발표한 마당에 오히려 서민들에게 돈을 빌려주고 빚을 빨리 갚으라고 독촉하는 꼴이 되는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