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구멍뚫린 입학사정관제 특단의 대책 필요

공유
0

구멍뚫린 입학사정관제 특단의 대책 필요

2008년 도입당시 객관성 등 문제 제기






대학, 고교, 교육단체 등 허점 보완해야


[글로벌이코노믹=노정용기자] 수험생의 인성과 잠재력 등 다양한 전형요소를 반영하는 입학사정관제에 구멍이 뚫렸다. 지난해 12월 지적장애 여중생을 집단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해 학생 16명 가운데 한 명인 A군이 성균관대 입학사정관제 리더십 전형에 합격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것이다.



문제는 입학사정관제 신뢰성에 먹칠을 한 것은 성균관대만의 일이 아니라는데 있다. 가해 학생 상당수가 고려대와 중앙대 등 서울 유명대학에 합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입학사정관제도의 허점 마련에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입학사정관제는 수시모집 20%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다가 교과부와 대학이 수험생의 인성과 잠재력을 평가해 선발한다고 자랑해 왔다. 하지만 성균관대 사태에서 보듯이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대학관계자들도 수험생들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지를 두고 고민에 빠질 수밖에 없다.



대학관계자들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제의 취지는 공감하지만 학생이 어떤 범죄를 저질렀는지, 실제 봉사활동의 여부 등을 일일이 따져보는 것은 현재의 검증 시스템만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나마 입학사정관이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으로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가 있지만 고교과정에서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위조할 경우 방법이 없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실제로 성균관대 A군의 경우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에 '봉사왕'으로 묘사한 내용이 담겨 있었고 이런 점이 당락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대학관계자들은 "고교 교사들이 양심에 따라 진솔하게 추천서를 쓰지 않는다면 뾰족한 대책이 없다"고 지적한다.



지난 2008년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는 대부분 취지에는 공감함에도 불구하고 도입 당시부터 공정성과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돼 온 게 사실이다. 성균관대 사태로 이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만큼 고등학교, 대학교, 교육단체들이 다함께 머리를 맞대고 입학사정관제 시스템 전반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