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과 이물①] 식품 속 ‘이것’, 이물인가요?
[식품과 이물②] 이물 신고 시 진행 과정과 자주 하는 질문은?
[식품과 이물③] 이물 저감화를 위한 식품업계의 노력

◇식품 이물신고 접수! 어떤 절차를 거치나요?
식품 이물사고에도 우선순위가 있다. 쥐 등 동물의 사체, 7㎜ 이상 유리·사기조각, 칼날, 바늘 등 날카로운 형태의 금속성 이물이 발견된 경우다. 같은 제품이나 원료에서 동일한 이물이 반복 접수될 때도 마찬가지다. 식약처에서는 이를 신속조치대상으로 분류하며, 처리 기한에 관계없이 접수한 즉시 처리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물 신고접수는 어디에서 하며, 접수 후 어떤 과정을 거칠까? 보통 구매처나 제품 패키지에 표기된 고객 상담센터로 이물 발견을 신고하지만, 정확한 이물 감별을 위해서는 1399 불량식품통합신고센터, 식약처, 관할 지방청이나 시·도(시·군·구)로 접수한다.
소비자 신고 시 이물·증거 제품은 접수기관에서 직접 제조(수입)업소 소재지 관할기간으로 인계한다. 처리 기한은 접수한 날부터 15일 이내다. 토요일이나 법적 공휴일은 제외다. 추가 조사나 성분분석 등 특별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처리 기한 연장이 가능한데, 연장 시 반드시 신고인에게 진행사항을 통보하고 있다. 반면 식품제조·가공업자, 유통전문판매업자 등 영업자 보고가 접수될 경우 처리 기한은 7일 이내다.
보통 소비자와 영업자 신고가 중복으로 접수되면, 조사는 소비자 신고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물 원인조사는 ▲조사반 편성(2인 1조 원칙) ▲조사 대상자에게 식품위생감시원증 등 증표와 서류 제시 ▲조사 목적 설명 ▲이물과 증거제품 확인 ▲현장조사 ▲조사표 작성 ▲종료 회의 순이다.
이후 소재지 관할기관은 추가조사 결과, 이물 분석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물 혼입 원인을 최종 판정한다.

◇식품 이물사고, 원인 규명은 철저하게
이물 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이물의 발생 원인과 혼입 경로를 추적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무엇보다 혼입된 이물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당 과정이 미흡할 경우 재발 방지대책을 세우는 의미가 무색해진다. 이물 혼입 방지 활동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동일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물 감별을 통해 알아내야 할 사항은 크게 두 가지다. 곤충 등 생물이 혼입됐을 경우 해당 종을 파악하거나 혼입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또 한 가지는 이물의 크기나 경도를 통해 물리적인 위해 정도를 파악해야 한다.
천진영 기자 cjy@g-enews.com